복지부, 제1차 심뇌혈관 질환 관리 종합계획 확정

최근 심근경색과 뇌졸중 등 심뇌혈관 질환자가 늘어나자 정부가 관리에 나섰다. (보건복지부)/그린포스트코리아
최근 심근경색과 뇌졸중 등 심뇌혈관 질환자가 늘어나자 정부가 관리에 나섰다. (보건복지부)/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박소희 기자] 최근 심근경색과 뇌졸중 등 심뇌혈관질환자가 늘어나자 정부가 직접 관리에 나섰다. 

우리나라 심뇌혈관질환 환자는 지난 2016년 기준으로 1089만명이고 연간 9조 6000억원의 진료비가 들어간다. 이는 2015년 8조 8000억원에서 9.1% 증가한 액수다. 

정부는 4일 심뇌혈관 질환 관리위원회를 열어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뇌혈관질환의 예방부터 치료, 관리에 이르기까지 국가가 관리한다”는 내용의 제1차 심뇌혈관 질환 관리 종합계획(2018~2022)을 확정했다. 

질환에 대한 인식개선부터 고위험군 관리와 지역사회 응급대응 및 치료역량 강화, 지속적인 관리체계 구축 등을 통해 '심뇌혈관질환 걱정 없는 건강한 사회'를 만들겠다는 게 주요 골자다. 

보건복지부는 계획안에서 심뇌혈관질환의 관리를 위해 △대국민 인식개선과 건강생활 실천 △고위험군 및 선행 질환 관리 강화 △지역사회 응급대응 및 치료역량 강화 △환자 지속관리 체계 구축 △관리 인프라와 조사 및 연구개발(R&D) 강화 등 5가지를 핵심 추진전략으로 내세웠다. 

먼저 예방을 위해 질환의 증상과 대처방법에 대한 정보제공을 강화하고 심폐소생술 등 초기 대응 방법 교육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 고위험군과 선행 질환 관리 강화를 위해 우리나라 사람에게 적용 가능한 고혈압 등 심혈관계 질환의 고위험군 선별기준과 관리지침 등도 개발한다. 

아울러 중앙과 권역, 지역 심뇌혈관 질환 센터를 연계해 심뇌혈관 질환 안전망도 구축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복지부는 이번 계획을 통해 급성심근경색의 증상 인지율을 지난해 기준 45.5%에서 2022년 55%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치명률(입원 30일 이내 사망률)은 같은 기간 8.1%에서 7.5%까지 낮추고 40%에 불과한 급성심근경색 조기 재활 시행률은 5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도 세웠다. 

뇌졸중 역시 증상 인지율은 51.2%에서 61%로 올리고, 치명률은 7.5%에서 6.6%로 떨어뜨릴 계획이다. 

ya9ball@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