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사진은 해당 기사와 무관함. (Pixabay 제공) 2018.08.16/그린포스트코리아
위 사진은 해당 기사와 무관함. (Pixabay 제공) 2018.08.16/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홍민영 기자] 긴급 안전진단을 받지 않은 1만5000대의 BMW 차량이 16일부터 운행 정지된다. 소프트웨어 조작 가능성은 낮다는 의견이 나온 가운데, 리콜 대상이 아닌 차량에서 또 불이 나 소비자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16일 오전 긴급 안전진단을 받지 않은 BMW 리콜 대상 차량에 대해 즉시 점검과 운행정지 명령을 발동할 것을 시‧도에 요청했다.

지난 15일 기준 안전진단을 받지 않은 차량은 총 1만5092대로 전체 차량의 14.2%다. 

16일 오전 기준 안전진단 예약을 접수하고 대기 중인 차량은 9484대로 18일까지 실제 운행정지되는 차량은 5000대 안팎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한편 BMW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EGR(배기가스 재순환장치) 소프트웨어 조작 가능성에 대해서는 정부차원 조사가 불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BMW 피해자모임’의 하종선 법무법인 바른 변호사는 이날 서울 강남구 바른빌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16년 환경부가 실시한 배기가스 시험 결과를 근거로 BMW가 EGR 소프트웨어를 조작했다고는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유로6 기준이 적용된 디젤차 20개 차종을 대상으로 실내 인증, 실외 도로주행 등을 시험한 바 있다. 당시 20개 차종 중 이번 리콜 대상인 BMW 520d만이 유일하게 도로주행 시 배출 질소산화물이 실내 인증기준(0.08g/㎞)을 충족했다.

하 변호사는 “이미 환경부가 BMW의 배기가스 소프트웨어 조작 여부를 확인한 데다 영업비밀에 해당하는 만큼 자발적으로 밝히지 않는 한 검증이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면 굳이 다시 조사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오히려 BMW가 EGR을 타 제조사보다 많이 작동하도록 설계한 것이 아닌지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EGR 쿨러나 밸브가 이를 감당하지 못하고 구멍이 나 화재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이다. 

또 환경부가 2015년과 2017년 EGR 관련 리콜을 실시했을 때 BMW의 구체적인 조치가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봐야 결함은폐여부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하 변호사는 “EGR의 잦은 작동을 줄이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만약 이런 내용의 리콜이었다면 환경부에 변경 관련 사전인증을 받아야 했으나 그러지 않았으므로 위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당시 환경부가 이 부분을 제대로 검증하지 않았거나 BMW에 속았을 수 있으니 당시 협의한 내용을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가운데 하루가 멀다하고 화재가 발생해 소비자들의 불안감은 더 커지는 상황이다.

15일 오전 4시 17분쯤 전북 임실에서 운행 중이던 BMW X1에서 불이 났다. 해당 차량은 2012년 4월식으로 리콜 대상이 아니다. 이를 포함해 올해 BMW 차량 화재는 40건에 달한다.

이에 따라 BMW 차량화재 피해 차주들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국무총리와 국토교통부 장관 등에 원인규명시험 실시를 촉구했다.

차주들은 “자동차 주행시험장에서 화재가 발생할 때까지 문제 차량을 달리게 하는 ‘스트레스 테스트’를 진행하면 원인 규명이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전기 배선 등 다른 문제가 없는지도 살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차주들은 오는 17일 하랄트 크뤼거 BMW 회장 등 본사 임원 2명과 BMW코리아 임원 1명을 추가로 고소할 예정이다.

hmy10@greenpost.kr

키워드

#BMW #화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