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등록자중 약 86% 70세 이상 고령화

이범석 남북적십자회담 남측대표 북측대표단과 창경궁 관람 (정부기록사진집)/1973.07.12/그린포스트코리아
이범석 남북적십자회담 남측대표가 북측대표단과 창경궁 관람하는 모습.(정부기록사진집)/1973.07.12/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박소희 기자] 남북이 22일 8·15 이산가족상봉행사 등 인도적 사안을 논의할 적십자회담을 개최한다. 이번 회담 이후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열린다면 2015년 10월 이후 3년만이다.

남측 대표단은 21일 오후 출발해 강원도 고성에서 하루를 묵고 22일 오전 동해선 육로를 통해 회담장인 금강산으로 향할 계획이다

이번 회담에서 가장 중요한 의제는 남북 정상이 '4·27 판문점 선언'에서 합의한 이산가족상봉행사의 구체적인 일정과 상봉 규모 등을 정하는 일이다.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생존자 중 70세 이상이 전체의 85.6%인 4만8703명에 이른다. 현재(지난달 말 기준) 이산가족 등록자는 총 13만2124명이며 이 중 7만5234명이 사망했고, 5만6890명만 생존해 있다.

이산가족들의 고령화가 심각해 한 회 100명씩 만나는 지금의 상봉 방식으로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 남측은 전면적 생사확인과 서신교환, 고향 방문 등을 북측에 제안할 것으로 보인다. 

이산가족 등록자중 상당수는 가족의 생사조차 알지 못하는 상황이다. 통일부가 2016년 진행한 '이산가족 실태조사'에 따르면 이산가족 중 74.7%는 북한 내 가족의 생사를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는 이미 북측과 전면적 생사확인에 합의할 때를 대비해 지난 11일부터 '남북 이산가족 전면적 생사확인'과 '고향 방문 및 영상편지 제작'에 참여할지를 묻는 수요 조사를 이산가족 전원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이 이 같은 제안을 받아들일지는 불투명하다. 

남측은 과거에도 적십자회담 등을 계기로 북측에 이를 요구해왔지만, 북측의 소극적인 태도로 성사되지 못했다. 

이 밖에 북한에 억류된 김정욱 선교사 등 우리 국민 6명의 석방 문제도 적십자회담 테이블에 오를 수 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지난 1일 열린 고위급회담 종료 뒤 브리핑에서 "북측에서 억류자 문제와 관련해서 관련 기관에서 검토하고 있다는 설명을 했다"고 말한 바 있다.

북측 역시 지난 2016년 중국 식당에서 일하다 집단 탈북한 종업원 12명의 송환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북한은 줄곧 이들이 '납치됐다'고 주장해왔다. 

한편 북측은 남북접식자회담 대표단 명단을 21일 오후 1시 30분 현재까지 남측에 전달하지 않고 있다. 우리측 명단은 북측에 제공한 상태다. 
 
 

ya9ball@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