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Pixabay]
[출처=Pixabay]

[그린포스트코리아 홍민영 기자]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이달 말부터 오는 11월까지 기본수준점표 현황 조사를 실시한다고 22일 밝혔다.

바다의 기준면은 해당 지역 해수면의 상승‧하강 현상에 따라 정해진다. 국립해양조사원은 각 지역에서 관측한 자료를 바탕으로 평균해수면(해수면 높이의 평균값), 약최고고조면(가장 높아진 해수면 높이), 약최저저조면(가장 낮아진 해수면 높이, 기본수준면)을 정한다.

기본수준점표는 이러한 기준면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다. 우리나라 서해중부, 서‧남해역, 동남해안, 제주 등 424개 지역에 1414개가 매설되어 있다. 가장 높아진 해수면 높이는 해안선과 항만설계의 기준으로 사용되며, 가장 낮아진 해수면 높이는 간출지(밀물 때 물에 잠기는 육지)의 높이와 수심을 표기하는 기준으로 활용된다. 

국립해양조사원은 기본수준점표의 변동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2016년부터 매년 지역별 순환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올해에는 부산, 울산, 경남, 경북, 강원, 제주 등 105개 지역에 매설된 365개 기본수준점표를 조사할 방침이다. 

이번 조사에서는 기본수준점표의 매설 현황을 점검하고 높이를 정밀하게 측정해 변동여부를 파악한다. 또한 사라지거나 훼손된 점표를 새롭게 매설해 바다의 기준면을 명확히 알 수 있도록 철저히 관리할 계획이라고 해양수산부는 전했다.

hmy10@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