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8개 항만에 항만배후단지 2969만9000㎡

출처=해양수산부
출처=해양수산부

 

[그린포스트코리아] 오는 2030년까지 부산항과 인천항 울산항 등 전국 8개 항만에 항만배후단지 2969만9000㎡가 조성된다.

해양수산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제3차 항만배후단지개발 종합계획 및 항만별 배후단지개발계획’을 확정해 지난해 12월 29일 고시했다고 밝혔다. 해당 항만은 부산항과 인천항, 광양항, 평택‧당진항, 울산항, 포항항, 목포항, 마산항이다.

항만배후단지개발종합계획은 항만법에 따라 해수부 장관이 배후단지 개발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항만을 대상으로 수립하는 국가계획으로, 지금까지 두 차례(2006년, 2012년)에 걸쳐 수립됐다.

이번 3차 계획에서는 2차 계획 수립시보다 복합제조 및 물류기업용 부지를 확충하는 데 중점을 두고 기업투자환경 개선에 집중했다. 해당 항만은 연간 1000만톤 이상의 화물 처리와 2000TEU급 이상의 ‘컨’전용선석 또는 길이 240m 이상 잡화부두 확보, 개발 수요면적 30만㎡ 이상 확보 등 항만배후단지 지정 기준을 충족했다.

부산항 신항의 경우 물류와 비즈니스를 연계한 글로벌 복합비즈니스형 항만으로 나아간다. 해수부는 2030년까지 부산한 신항에 8457천㎡의 배후단지를 단계별로 공급할 계획을 세우고, 서쪽 컨테이너 부두의 3단계 항만시설용 부지를 항만배후단지로 신규 지정했다. 응동지구와 북쪽․남쪽 컨테이너 부두 인근의 2종 항만배후단지 부지와 업무편의 시설 부지의 비중을 줄이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복합물류 및 제조시설 부지를 확충하였다.

인천항은 수도권과 환황해권 물류거점이 되는 국제물류지원 강화형 항만으로 거듭난다. 2030년까지 756만 6000㎡의 배후단지를 단계별로 공급하기로 했으며 준설토 투기 중인 신항 1-2단계를 항만배후단지로 신규 지정했다.

평택·당진항은 수도권 등 중부권역의 생산재 수출입 거점을 목표로 하는 제조기반 부가가치 창출형 항만으로 공급된다. 2030년까지 586만9000㎡의 배후단지를 단계별로 공급하며, 항만 서쪽의 2-3단계 2종 항만배후단지를 1종 항만배후단지로 변경할 계획이다.

광양항은 석유화학·제철 등 배후산업단지와 연계한 산업클러스터 기능 강화형 항만으로 키운다. 2030년까지 398만1000㎡의 배후단지를 공급하고 서측 2종 항만배후단지를 복합물류 및 제조시설용으로 변경했다.

울산항·포항항·목포항ㅍ마산항은 배후 권역의 특성을 고려한 지역산업 특화형 항만이 된다. 울산항에는 2030년까지 151만 3000㎡의 배후단지를 공급하고, 포항항은 장래항만배후단지로 지정된 곳을 항만시설용부지로 변경했다. 목포항은 업무편의시설 부지를 중앙에 배치하여 접근성을 높였고 마산항은 개발이 완료돼 변경사항은 없다.

해수부는 “2030년까지 항만배후단지 개발에 민자를 포함 약 1조5000억원이 투입되면 기업입주 등을 통해 11조9000억원 규모의 생산유발 효과를 얻는다”면서 “배후단지 조성, 제조‧물류시설 건설, 입주기업 인력고용 등을 통해 약 8만7000여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pigy9@naver.com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