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폐광산 주변지역의 오염 실태 결과 발표

환경부는 지난해 강원, 경북 등 , 폐금속광산 17곳, 폐석탄광산 7곳, 석면물질 함유가능광산 3곳, 폐석면광산 1곳 등 총 28곳의 폐광산에서 총 275만 7,120㎡의 면적이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석면물질 함유가능광산의 정밀조사는 공주시 유구읍, 청양군 청양읍, 홍성군 금마면, 울산광역시 북구 달천동 등 4곳을 대상으로 했으며, 제천시 수산면 일대 동아 폐석면광산에 대한 추가 조사도 진행됐다.
정밀조사 광산 위치 [출처=환경부 제공]

 

폐금속광산 17곳을 정밀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전체에서 우려기준을 초과한 토양오염이 발견됐고, 4곳은 수질오염도 발견됐다.

특히, 봉화군의 금주광산은 모든 필지에서 토양오염이 확인됐고, 오염대책기준(75mg/kg)을 넘는 농도의 비소(196.6mg/kg)도 발견됐다.

같은 지역의 마2광산, 임기광산, 삼신광산과 태백의 유곡광산 등 4곳은 갱내수에서 수질오염도 확인되어 정화 등의 조치가 필요한 상태다. 

이들 광산은 주변 농경지가 카드뮴(Cd), 비소(As), 납(Pb), 아연(Zn), 구리(Cu) 등 중금속에 오염됐으며, 정화가 필요한 면적은 조사면적의 66.7%인 203만 3,157m2이다.

8곳의 폐석탄광산 정밀조사 결과, 보은군의 삼성광산을 제외한 7곳에서 우려기준을 초과한 토양오염이 발견됐고, 5곳은 수질오염도 발견됐다.

특히 평창군의 정개광산은 토양조사지점(119개)의 54%가 중금속에 오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평창군의 용배광산과 한창광산을 비롯해 보은군의 보은광산, 부국광산, 한보광산 등 5개 광산은 수질조사(하천수, 갱내수)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배광산, 한창광산, 부국광산, 보은광산 등 4개 폐광산은 철 같은 중금속으로 하천바닥이 붉게 변하는 적화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들 폐석탄광산은 비소(As), 카드뮴(Cd), 구리(Cu), 아연(Zn) 등 중금속에 오염됐으며, 정화가 필요한 면적은 조사면적의 24%인 27만 7,710㎡이다
대구경광산 갱구 내부 [출처=환경부제공]

 

석면물질 함유가능광산 4곳에 대한 조사결과, 조사면적의 3.2%인 31만 2,878㎡에서 0.25% 이상의 트레모라이트 석면이 검출됐다. 트레모라이트 석면은 각섬석 계열의 바늘모양‧무색의 곧은 섬유상 광물로 석면의 일종이다.

이 중 토양에 석면이 1% 이상 함유되어 광해방지사업이 필요한 정화대상 면적은 7,474㎡로 나타났다.  

나머지 30만5,404㎡는 석면 함유량이 1% 미만이고, 위해성평가에 따른 위해도가 10-4(1만분의 1)보다 낮게 나타나 정화대상에 포함되지는 않았으나, 향후 토지이용 변경 등에 대비한 감시 등 사후관리는 필요한 것으로 평가됐다. 하천수 등 수질조사, 대기와 실내공기 조사에서도 석면은 검출되지 않았다.

하지만 추가로 조사한 동아폐석면 광산은 과거 위해성 평가 결과에서 위해도가 10-4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광해방지사업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환경부는 2014년에 폐석탄광산 423곳의 기초환경조사를 완료한 후 정밀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238곳을 매년 순차적으로 조사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이 중 8곳에 대해 정밀조사를 실시했다.

또한 이번 조사결과를'폐광산 관계기관 정책협의회'를 통해 논의하고, 산업통상자원부,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부처와 해당 지자체 등에 통보했으며, 광해방지사업 추진(산업부)과 농작물 중금속 안전성 조사(농식품부) 등을 관계부처에 요청했다.

아울러, 환경부는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조하여 폐광산 주변지역에 대한 주민건강영향 조사사업 추진 등 주민건강관리에 힘쓸 계획이라고 밝혔다.


econews@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