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가축매몰지 정밀조사 착수

 


조류 인플루엔자·구제역으로 가축들을 살처분한 매몰지에서 침출수 유출 등으로 인해 환경오염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지자체와 함께 지난해 12월 말부터 약 5개월간 전국의 가축매몰지를 조사한 결과, 매몰지 10곳에서 침출수 유출이 우려돼 이들 매몰지를 정밀조사한다고 밝혔다.

그간 조성된 매몰지는 2010년부터 올해 5월까지 전국에 6068개소이다. 정부는 가축사체 매몰이후 사후관리기간(3년)을 초과하지 않았거나 관리기간이 연장된 매몰지 1216곳을 '관리대상 가축매몰지'로 지정해 관리 중이다. 

앞서 환경부는 관리대상 매몰지 중 관측정이 설치된 235곳에 대해 전수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전체 매몰지의 4.3%인 10곳에서 침출수 유출이 우려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관측정 수질조사는 해당 지역 지자체에서 두 차례 조사했다. 환경부도 전수 조사를 실시해 침출수 유출이 우려되는 매몰지를 선정, 정밀조사에 들어갔다.

정밀조사 대상 매몰지는 △강원 원주시 소초면 평창리(2011년, 구제역) △경기 안성시 일죽면 장암리(2015년, 구제역) △전남 해남군 산이면 금송리(2016년, AI) △충남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봉양리(2016년, AI) △전남 나주시 반남면 대안리(2016년, AI) △경기 안성시 일죽면 월정리(2015년, 구제역) △경기 안성시 일죽면 고은리(2015년, 구제역)△전남 무안군 일로읍 의산리(2016년, AI) △충북 음성군 생극면 임곡리(2016년, AI) △전남 무안군 망운면 피서리(2017년, AI) 등 10곳이다.
  
이들 매몰지에는 현재까지 돼지, 닭, 오리 등 총 73만5000여마리의 가축이 살처분됐다.

매몰지 10곳 중 천안 봉양리, 안성 장암리, 원주 평창리 등 3곳은 지난 4월14일부터 정밀조사에 들어갔다. 한국지하수토양학회에서 수행하는 정밀조사는 침출수 유출이 우려되는 가축매몰지에서 오염이 발견될 경우, 응급조치 및 토양·지하수 정화조치 방안을 마련해 먹는물 안전성 확보 및 지하수 수질보전에 들어간다. 

매몰지 인근 관층정 위치와 구조 기본도 [출처=환경부]

 


환경부는 이번 정밀조사를 바탕으로 침출수 유출이 확인될 경우 오염 확산방지에 주력하고, 확산된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등 적극적으로 조치할 예정이다. 또 정밀조사 결과를 분석, 관측정 설치방법과 이설·소멸 처리된 매몰지의 사후관리 등을 개선하고 효율적·경제적인 정화방법 등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다행히 조사대상 매몰지 10곳 인근에 있는 지하수는 아직 이상이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부는 조사대상 매몰지 10곳 주변(150m) 주변에 있는 모든 지하수관정을 지난 3월부터 2개월간 조사한 결과, 용도별(농업용 또는 음용) 수질 기준을 초과한 곳은 아직 없다고 전했다. 하지만 환경부는 지속적으로 지하수관정을 조사해 수질기준을 초과할 경우, 정수기 무상보급 등 먹는물 안전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지연 환경부 토양지하수과장은 "최근처럼 가축질병이 대규모로 발생되거나 상시 발생하는 가축사체를 불가피하게 매몰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있다"며 "매몰지 조성에 따른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 마련과 철저한 사후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가축매몰지를 정밀조사해 환경오염이 발견될 경우 관계기관에 적정 조치를 요청할 것"이라며 "오염 확산방지 등 응급조치와 함께 필요시 지하수 정화사업도 추진하는 등 환경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달 2일 제주에서 AI가 다시 발생해 2일부터 6일까지 총 8개지자체에서 15개 매몰지가 조성됐다. 이에 환경부는 4일 '가축매몰지 환경대책반'을 재가동해 가축살처분지역의 매몰지 환경관리와 먹는물 안전대책을 추진 중이다. 또 이달 중에는 장마철을 대비해 가축매몰지를 대상으로 관계기관 합동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hypark@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