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월성(사적 제16호)에 대한 정밀 발굴조사 중 서쪽 성벽의 기초층에서 제물로 추정되는 인골 2구가 출토됐다. 또  ‘소그드인’으로 추정되는 터번을 쓴 토우가 나오고, 병오년(丙午年) 간지가 정확하게 적힌 목간도 발굴됐다.

A지구 성벽 내 인골 출토 세부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는 2015년 3월부터 진행 중인 경주 월성 정밀발굴조사의 중간 조사결과를 16일 월성 발굴현장에서 공개했다.

경주 월성 조사구역은 총면적 22만 2천㎡규모로 편의상 A, B, C, D 등 총 네 지구로 나뉘어 있다. 2015년 6월 발굴조사가 시작된 A지구(월성 서편지구)는 서쪽 성벽이 5세기에 처음으로 축조됐고 문이 있던 자리는 이미 유실됐음이 밝혀졌다.  

경주 월성 배치도

 

월성 성벽은 훍으로 만든 토성이며, 성질이 다른 흙을 서로 번갈아 가면서 쌓아올리는 성토기술로 축조했다. 성벽 최상부에는 사람 머리 크기 만한 돌이 4~5단 가량 무질서하게 깔려 있었다.

월성 서쪽에 있는 서성벽을 조사한 결과, 축조연대는 5세기 전후로 판단되며, 국내에서 최초로 성벽을 쌓는 과정에서 사람을 제물로 사용한 제의의 흔적이 확인됐다. 인골은 성벽을 본격적으로 쌓기 직전인 기초층에서 2구가 출토됐다.  한 구는 정면으로 똑바로 누워 있고, 다른 한 구는 반대편 인골을 바라보게끔 얼굴과 한쪽 팔이 약간 돌려져 있다. 두 구 모두 얼굴 주변에 수피(樹皮, 나무껍질)가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성벽을 쌓는 과정에서 인골이 확인된 국내 사례는 월성이 최초이다. 주거지 혹은 성벽의 건축과정에서 사람을 제물로 사용한 습속은 고대 중국(BC 1,600~1,000경, 상(商)나라)에서 성행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 제방이나 건물의 축조와 관련된 인주(人柱) 설화로만 전해져 오다가 이번에 그와 같은 사실이 고고학적으로 확인된 셈이다.

해자지구 출토 동물유체

 

문화재청은 발굴된 인골의 성별‧연령 등을 확인하기 위한 체질인류학적 분석과 DNA 분석, 콜라겐 분석 등을 진행하고 있다고 발혔다.

월성 북쪽 면에 길게 늘어서 있는 해자는 약 500년 동안 수혈해자에서 석축해자로의 변화를 거치며 지속적으로 사용된 사실이 확인됐다.

수혈해자는 월성 성벽을 둘러싼 최초의 해자로서, 성벽 북쪽에 바닥층을 U자 모양으로 파서 만들었으며, 해자 가장자리가 유실되거나 이물질을 막기 위한 판자벽을 세웠다.
 
석축해자는 수혈해자 상층에 석재를 쌓아올려 조성했으며, 독립된 각각의 해자는 입‧출수구로 연결됐다. 

월성 성벽과 해자의 조성 순서를 확인한 결과, 성벽을 먼저 쌓고 이후 최초의 수혈해자를 팠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문화재청은 설명했다. 이후 성벽과 해자를 다시 쌓거나 보수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성벽 경사면에 해자의 석축호안을 쌓는 등, 유기적으로 축조한 사실이 확인됐다는 것.   

터번쓴토우세부

 

해자에서는 흙으로 형상을 빚은 토우(土偶)가 여럿 출토됐으며, 이 가운데 터번을 쓴 토우가 나와 주목할 만하다.

이번 터번 토우는 눈이 깊고, 끝자락이 오른쪽 팔뚝까지 내려오는 터번을 머리에 두르고 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소매가 좁은 카프탄을 입고 있으며 허리가 꼭 맞아 신체 윤곽선이 드러나고 무릎을 살짝 덮은 모양인데, 당(唐)나라 시대에 호복(胡服)이라고 불리던 소그드인 옷과 모양이 유사하기 때문에 소그드인 토우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신라 천 년 궁성인 월성의 체계적 복원을 위한 철저한 고증연구와 학술 발굴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며, 아울러 발굴조사의 새로운 유형을 만들기 위해 정기적인 성과 공개, 대국민 현장설명회, 사진 공모전, 학생들을 위한 체험 프로그램 등을 마련, 국민과 함께 발굴성과를 공유하고 꾸준히 소통할 것" 이라고 밝혔다.


parkty22@daum.net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