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각 도입가능한 친환경 LPG차" 무관심속 시장 침체

LPG 차 연료탱크 모습 [출처=한국지엠]

 


올해도 점점 심해지는 미세먼지로 당국의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자동차업계에서는 즉각 도입이 가능한 LPG차 규제를 완화해 보급 확대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을 제기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선 전기차·수소연료전지차 등으로 친환경차 보급을 서두르고 있지만, 정작 가장 빠른 도입이 가능한 LPG차 활성화에는 소극적이라는 지적이다. 

LPG차는 이미 친환경성이 우수하다고 검증된바 있다. 미세먼지 배출량은 거의 없는 수준이고, 질소산화물 배출량도 경유차의 30분의 1에 불과하다. 2015년 환경부 차량 배출가스 등급 조사결과, 연료별 평균등급은 LPG차 1.86, 휘발유차 2.51, 경유차 2.77로, LPG차량의 평균 배출가스등급이 가장 우수하다고 발표됐다.

당시 환경부는 LPG 차와 휘발유 차를 비교한 결과, LPG 차가 유해 배출가스 27~94%, 이산화탄소는 약 17% 낮게 나왔다고 발표했다. 특히 LPG 차는 대기오염의 주요원인인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클린디젤이라고 홍보한 유로6 경유차보다 88~96% 적게 나온 것으로 분석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의원을 비롯해, 환경부, LPG업계에선 미세먼지를 배출하지 않는 LPG차 보급 확대를 주장하고 있지만, 산자부는 "장기적으로 LPG차보다 전기차나 수소차를 키워야하고 LPG차 확대에 따른 세수 감소도 문제"라며 LPG차 규제완화에 소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난달 말 산자부는 정·재계를 아우르는 LPG차 보급확대 요구에 결국 LPG차 규제완화를 위한 민관 태스크포스(TF)를 구성, 대책마련에 나섰지만 업계에선 그간의 행태를 감안해볼때 큰 기대를 걸지않는 분위기다.

 


LPG차를 법으로 제한하는 나라는 세계에서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오히려 해외 각국에선 LPG를 기후변화 대응에너지로 부각하며 LPG차 보급에 적극 나서고 있다.  

미국, 일본.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터키, 폴란드 등 세계 주요국은 LPG를 친환경 대체연료로 지정, 휘발유 및 경유보다 낮은 세금을 부과해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유지하고 있다. 또 추가로 정책지원 등 인센티브까지 시행, 보급을 서두르고 있다. 이같은 각국 보급정책에 힘입어 세계 LPG차 규모는 2000년 이후 매년 평균 9% 성장, 2000년 750만대에서 2015년 2641만대로 3.5배 이상 성장했다.

반면 국내에선 LPG차를 장애인 차량과 렌터카, 택시 등으로 제한, 세계적인 추세에 역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LPG 업계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LPG차 기술력이 세계최고 수준에 올라있지만, 이같은 법적 규제로 인해 국내 LPG차 시장은 침체에 빠져들고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얼마전까지만해도 LPG차 판매 1위를 지켜왔던 우리나라는 2010년 터키에 1위를 내줬고, 현재(2015년 기준)는 4위로 추락한 상태다. 

최근 국내 LPG차 등록대수도 2010년 이후 5년연속 감소추세다. 세계LPG협회에 따르면 2015년 국내 LPG차 보급은 전년보다 3.4% 감소한 235만5011대로 집계됐다. 특히 터키, 러시아, 폴란드, 인도 등 LPG차량 강국 중 우리나라만 유일하게 보급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킴벌 첸 세계LPG협회 회장은 "한국은 세계적으로 정평이 난 LPG차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LPG차 시장은 세계적인 추세와 반대로 활력을 잃고 침체 중"이라며 "한국 정부의 규제로 LPG차에 진입장벽이 생기면 소비자들은 환경에 대한 고려 없이 경제성만을 이유로 다른 연료를 사용하는 차를 선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LPG업계는 LPG차가 인프라구축이 필요한 전기차·수소연료전지차 등과는 달리, 보급확대가 바로 가능한 '친환경차'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LPG 충전소는 2000여개에 달하며, 택시·렌터카 등 LPG 차량이 전국에서 무리없이 주행하고 있다. 

강광규 환경정책평가연구원 박사는 "LPG차는 이미 충전 인프라와 현실성 있는 가격을 모두 갖추고 있어 전기차나 수소차가 대중화되기 전까지 징검다리 역할을 할 수 있다"며 "LPG차 규제완화는 미세먼지 저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면서도 정책 시행에 수반되는 부담이 크게 없다"고 말했다.

hypark@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