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서울시 제공]

 


서울시의 졸속 전기버스 사업이 사실상 중단되면서 시범사업에 투입된 약 38억원의 예산이 낭비됐다.

시는 지난 2014년 말 초미세먼지 농도 감량을 위해 2018년까지 전기버스 300대를 도입해 서울시내를 달리게 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서울시는 예산 부족 문제를 들어 소리소문 없이 전기버스 도입 사업을 중단한 상태다. 현재까지 서울 시내 전기버스 도입 예산은 전혀 반영조차 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시 기후환경본부는 발표 당시엔 중장기적인 비전을 제시한 것이라 문제가 될 게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서울시가 전기버스 도입 초기 경제성이나 실효성을 따져보지도 않은 채 시작한 남산전기버스 시범사업까지 중단하면서 수십억원의 예산 낭비를 초래했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출처=서울시 제공]

 


앞서 시는 2010년 말부터 서울 시내 전기버스 시범사업 차원에서 총 14대의 남산순환버스 중 9대를 전기버스로 운행했다. 이때 시는 2010년 12월과 2011년 2월 두 차례에 걸쳐 전기버스 한 대당 4억 1920만원씩, 총 37억 7280만원의 구매 보조금을 지원했다.

그러나 서울시는 남산순환 전기버스 9대가 노후화와 잔고장으로 대·폐차 단계에 이르렀음에도 대안을 내놓지 않은 채 손을 놓고 있다. 그간 운영 업체에 들어간 수십억원의 시민 세금이 결과물을 내놓지 못한 채 사라져버린 셈이다.

남산순환 전기버스 운행은 지난해 12월을 끝으로 임시 중단됐고, 결국 지난 1월 운행이 전격 중단되면서 CNG 차량으로 대체 운행되고 있다.  

서울시 기후환경본부 관계자는 "2010년 말에 도입된 남산순환 전기버스 9대는 모두 수리가 불가능해 운행이 중단된 것"이라며 "당분간 전기버스 추가 도입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이어 "남산 코스 운행시 정규 탑승 인원보다 2배 많은 인원을 태운 채로 높은 언덕을 오르내리며 고장이 자주 발생했다"며 "기존 수리업체가 사업을 철수해 수리가 불가능해진 것"이라고 덧붙였다. 

[출처=서울시 제공]

 


하지만 시가 전기버스 사업에 대한 충분한 의지가 있다면, 평지에서라도 운행을 재개할 수 있다. 운행이 중단된 차량들에 대해 전기버스 판매사인 TGM이 남산에 투입하지 않는 조건으로 보상판매를 해주겠다고 나섰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시는 전기버스의 성능이 보장되지 않은 점과 '대기청정지역'으로 지정된 구간을 다니는 남산순환버스의 상징성을 이유로 들며 거절했다.

전기버스의 성능과 관련해 TGM 측 관계자는 "부산 등 언덕이 많은 지역에서도 (전기버스가) 잘 운행되고 있어 주행 능력의 문제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남산에 투입하지 않는다'는 조건을 제시한 이유는 충전소가 남산 꼭대기에만 위치해 있는 탓"이라며 "내리막길에서는 오히려 전기가 충전되기 때문에 충전소는 오르막길 초입에 설치해야 한다"고 TGM 측은 주장했다. 시가 남산 주변 충전 인프라도 충분히 구축하지 않은 채 전기버스 시범사업을 졸속으로 진행한 것이다.

이에 시 관계자는 "현재 전기버스의 기술적 한계 때문에 재정 투입 대비 효과를 거두기 어려워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없다"며 "한 번 실패를 했기 때문에 신중한 입장이고, 시민의 발을 담보로 위험부담이 있는 걸 도입하는 것은 서울시에 적잖이 부담이 된다"고 해명했다.

lulu_oh@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