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과목 채택 중고교 8.9% 불과, 교육 인력도 감소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는 '학교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포럼'이 진행됐다. [사진=환경TV DB]

 


중·고교 환경 교육 교사를 늘리고 환경교육기금을 연간 1000억 규모로 마련하는 등 학교 환경교육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환경부와 국회 환노위 소속 신보라 의원이 주최한 '학교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포럼'이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3 세미나실에서 열렸다.

이날 발표에 나선 이재영 공주대학교 환경교육과 교수는 가습기 살균제와 같은 사건이 재발되지 않기 위해선 중고교 아이들의 교육 단계에서부터 사회적 이슈로 부각된 사건들과 연계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갖춘 환경과목의 편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가장 먼저 환경교육의 목표 변화를 지적했다. 현재 환경교육에서 환경의 정의는 물·공기·토양·생물과 같은 '요소론'과 숲·강·바다·갯벌 같은 '공간론'으로 분리돼있다.

이에 이 교수는 환경문제의 예방과 해결, 지속가능한 사회 만들기, 친환경적인 행동과 습관 등을 담아냈던 기존의 학교 환경교육에서 나아가, 가습기살균제나 이타이이타이병(itai-itai disease)과 같은 사건 중심의 환경교육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또 학교 환경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선, 정책적인 뒷받침도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영·수 중심의 교과과정을 개편해 중·고교생들이 환경 과목을 일주일에 4회가량 배울 수 있도록 환경부와 교육부 등 정부부처의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환경교육기금도 연간 1000억 규모로 늘리고, 정부-시장-시민단체가 연결돼있는 환경교육추진체의 조직과 운영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환경부에서 밝힌 연도 별 환경교육 및 환경교사 현황. [정보 출처=환경부, 사진=환경TV DB]

 


한편 같은 날 포럼 주제발표에 나선 신경준 숭문중학교 교사는 학교 환경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환경을 전문으로 공부한 이들을 교단에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 교사에 따르면 환경 과목을 가르치고 있는 전국의 중·고교는 2011년 671곳, 2012년 322곳, 2013년 573곳, 2014년 573곳, 2015년 521곳, 2016년 496곳 등으로 나타났다. 

환경전문 교육인력은 2011년 119명, 2012년 73명, 2013년 78명, 2014년 70명, 2015년 76명, 2016년 70명 등이다. 2011년을 제외하면 평균 73.4명꼴로 집계됐다. 

신 교사는 "'환경 과목은 아무나 가르쳐도 된다'는 인식 때문에 환경교육이 개설된 학교에서도 환경교육 전공 교사 대신 다른 과목을 전공한 교사들이 환경 과목을 맡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환경 과목 교사들은 교육과정이 바뀔 때마다 환경교육의 필요성을 단위 학교에 스스로 설명해 살아남았지만, 상당수는 다른 과목을 가르치는 길을 선택하거나 휴직한 상태라고 밝혔다. 이에 신 교사는 "정부가 학교 환경교육에 대한 지침 사항을 만들어 학생들에게 제대로 된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이영석 환경부 환경협력과 과장은 "중·고교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환경교재를 개발하고 방과후 환경 학교 사업을 벌이는 등 학교와 사회를 연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발굴하는 데 힘쓰겠다"며 "각 학교 내 교장·교감 등 관리자들에 대한 환경교육 인식을 강화해 환경교육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인턴십 프로그램 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포럼은 국가환경교육센터 주관으로 교육부, 교육청, 환경교사, 학계, 시민단체, 환경교육 전공학생 등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했다. 

bakjunyoung@eco-tv.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