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사용 필요성 제기…정부 "아직은 검토 안해"

최근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해 살처분을 실시한 전남 무안 일로읍 한 농장에서 방역을 위해 부산물을 치우기 위해 트럭에 싣고 있다. [출처=포커스뉴스]

 


고병원성 조류독감(AI)으로 인한 피해가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다. 정부는 위기 경보를 '심각'단계로 격상하고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하며 수습에 나섰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 AI백신 사용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지만 방역당국은 회의적인 입장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AI가 확진된 가금류에 대해 박멸을 위한 도살처분 방식의 처리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백신 접종은 곧 'AI 상시발생국'이라는 의미로, 청정국 지위는 잃게 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일단 현재 상황에서는 백신 사용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농식품부 관계자에 따르면 도살처분은 AI 박멸을 위한 것이며, 백신 접종은 AI를 진정시킨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즉 백신은 감기 예방주사와 같이 현재의 상황을 진정시키는 효과는 있지만 이는 언제 또 바이러스가 발생할지 모른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이미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으로 피해가 번졌고 살처분 마리수도 사상 최악을 넘어선 만큼 AI청정국은 이미 말 뿐이라는 지적이다. 특히 청정국의 지위 유지보다 지금 당장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백신 접종 조치가 시급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농림부에 따르면 18일 0시 기준 313개 농가에서 1468만여마리에 달하는 가금류가 살처분됐다. 여기에 25개 농가에서 338만마리 이상의 가금류에 대한 살처분이 진행중인 만큼 당분가 피해 규모는 늘어날 전망이다.

지금까지 역대 최악으로 기록됐던 피해 규모는 2014년(H5N8형)으로 당시 195일간 1396만마리의 가금류가 살처분됐다.

AI로 인한 피해는 단지 농가에만 국한되지 않고 있다. 서울대공원과 서울어린이대공원 내 동물원은 AI사태 방지를 위한 폐쇄조치에 돌입했다. 

산란계 살처분으로 인해 산지 출하량이 떨어지면서 계란을 주로 사용하는 제과·제빵을 비롯한 식품 업계가 직격탄을 맞고 있다. 계란 값이 치솟으면서 서민들도 피해를 입고 있다.

반면 닭고기 가격은 하락하고 있다. AI 바이러스는 열에 약해 70도 이상의 열을 가해 조리해 먹으면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소비자들이 기피하면서 매출도 급감하고 있다.

겨울철에만 공식 허가를 받아 수렵활동이 이뤄지는 순환수렵장의 경우도 정부의 AI 방역 지침에 따라 폐쇄 권고가 내려졌다. 

방역당국은 국내 가금류 살처분 비율이 축산물 수급에 영향을 미칠 만큼 높아질 경우 백신 접종 조치를 검토해볼 수 있다는 입장이다. 16일 기준 가금류 1억5500만마리 중 7% 가량이 살처분·매몰됐다.

김재수 중앙사고수습본부장(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살처분·매몰 비율이 지나치게 높아지면서 국내 축산물 수급 상황에 영향을 미칠 수준이 되거나, 축산산업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면 (백신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AI(H5N6)에 대해 일반 국민들은 야생조류나 AI 발생농가와의 접촉 가능성이 낮아 인체감염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또 현재까지 AI 발생 가금류에 직접 접촉한 고위험군 이외에 사람 간 전파 사례는 보고되지 않아 확산 가능성은 낮지만 철저한 개인위생 관리 등을 당부했다.

fly1225@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