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올해의 안전한 차 공동 1위를 수상한 르노삼성 SM6 [출처=국토부]

 


국토교통부가 매년 30억원의 예산을 들여 '올해의 안전한 차'를 시험, 평가하고 있으나 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안전성 시험 대상에 포함되는 모델 종류도 10여대에 불과하고 대부분 안전성 1등급을 받고 있어 순위의 의미가 있느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뿐 아니라 제작사가 요청하면 얼마든지 평가대상에 차종 추가가 가능해 정부가 세금을 들여 차량을 검사하고 인증, 이를 제작사에서 모델 홍보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는 르노삼성 SM6, 한국지엠 말리부 등 2차종을 '2016 올해의 안전한 차' 공동 1위로 선정했다. 르노삼성과 한국지엠은 시상식이 열리기도 전에 정부에서 차량 안전성을 인증했다며 홍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 

국토부가 올해의 안전한 차를 선정, 시상하는 목적은 국민들에게 차량 안전성 관련 정보를 전달하고 제작사 측이 차량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올해 평가 대상 모델은 총 14종으로, 10개 차종이 국내차였다. 특히 '메르세데스-벤츠', 'BMW' 등 세계적으로 차량 안정성이 높다고 평가된 브랜드의 모델들은 제외돼 의문이 제기됐다. 

이에 국토부 관계자는 "평가 차종은 판매량을 기준으로 선정해 소형·중형·대형차로 균형을 맞춰 선정하고 있다"며 "국토부와 교통안전공단이 1차로 평가집단을 선정하고 2차로 자문위원과 함께 논의해 최종 선정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차량 검사를 할 때 차량 1대만 실험하는 것이 아닌, 전면충돌, 측면충돌 등 여러 대의 차량이 필요해 수입차 등 고가의 차는 예산 등의 문제로 평가 대상에서 제외했다"고 덧붙였다. 

2016 올해의 안전한 차 공동 1위를 수상한 쉐보레 말리부 [출처=국토부]

 


일각에선 국토부가 설명한 평가기준이 공정하지 않다며 의문을 제기했다. 우선 2016년 수입차중 가장 많이 판매된 벤츠 E클래스가 대상에서 빠진 것부터 업계에서는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평가가 나온다. 또 지난해 '2015 올해의 안전한 차' 1위를 수상한 현대차 아슬란의 경우에도 판매량은 저조한 상황이었지만, 정부가 안정성 1위 인증을 해줘 차량 홍보에 도움을 준 것으로 보인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올해에는 르노삼성, 한국지엠에 소수점까지 같은 점수를 줘 공동 1위, 기아차는 3위로 평가해 2년만에 쌍용차를 제외한 국내 완성차 4사 모두 번갈아가며 안전성 인증을 해줬다. 

국토부 측은 정부기관에서 판매량을 기준으로 평가대상을 정하는 것 이외에도 제작사가 요청하면 해당차량을 제공받아 평가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제작사가 차량 안전성을 업그레이드해 새로 평가받고 싶거나, 대상기간에 포함되지 않아도 요청이 올 경우에는 함께 평가한다는 것이 국토부 설명이다.

6일 최정호 국토부 차관 (좌)이 '2016 올해의 안전한 차' 시상을 하고 있다 [출처=국토부]

 


하지만 업계에선 국가가 차량 안전성을 평가하는 순간 국민들의 신뢰감이 향상되는 등 상징성을 가지게 됨으로 선정에 더욱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 업계 전문가는 "해외에서는 컨슈머리포트 등 전문기관에서 평가할 뿐 정부가 평가해 시상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며 "상황이 이렇다보니 특히 정부가 안정성을 보증했다고 발표해도 소비자들이 신뢰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hypark@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