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경주서 국내 역대 최대규모인 5.8 지진이 발생한 이후, 현재까지도 크고작은 여진이 계속되고 있다. 이 여파로 포항, 울산 등 경상도 뿐 아니라 최근에는 전라도와 충청도 등까지 여진이 지속됐다. 얼마전엔 규모가 2.0대이긴 했지만 수도권인 수원에서도 여진이 파악되기도 했다. 이처럼 한반도의 지진 발생 횟수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국민들의 불안감이 점점 높아지자 정부나 업계뿐 아니라 학계에서도 그 원인에 대한 규명을 시도하고 있다. 

지난 25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열린 한국과학기자협회 빅 포럼(한반도 지진과 재난보도 모색)에서도 이러한 자리가 마련,  최근 한반도서 지진 발생이 늘어난 것에 대해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이날 지헌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장은 "동일본 대지진 이후 한반도의 지각도 서서히 팽창하고 있다"며 "한반도의 지진 유형이 바뀌고 있다"고 밝혔다.

지 센터장은 "그간 한반도 지진은 태평양판과 인도양판의 '미는 힘'(압축응력) 때문에 발생했지만, 동일본대지진 이후에는 팽창 응력으로 바뀌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 전 일본에서 규모 9.0의 대지진이 발생한 후 일본의 지각이 태평양 쪽으로 이동하고 한반도 역시 동쪽으로 1∼5cm가량 이동한 것으로 추정됐다"며 "연평도 인근은 1cm, 울릉도 인근은 5cm가량 일본 쪽으로 이동했다"고 분석했다. 

이로 인해 한반도가 양쪽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되면서 단층이 쉽게 벌어지기 때문에 오히려 지진이 발생하기 쉬운 상태로 변형됐다는 것이 지 센터장의 설명이다. 그에 따르면 지난 9월 규모 5.8의 경주 지진과 500회 넘게 잇따른 여진도 이 팽창력으로 생긴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지 센터장은 "한반도가 이러한 팽창력을 받으며 압축력이 해소, 향후 대규모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은 오히려 낮아졌다"고 전망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서 참석자들은 한반도에서 큰 지진이 발생할 경우 거주민들이 겪는 정신적 트라우마를 해결하기 위해 자치단체 중심의 현장 대응체계와 조직, 재난 관련 소통도 지속적으로 전개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weathernara@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