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안녕하십니까? 환경TV 미인의 창입니다. 환경TV는 멸종위기에 놓인 국내 환경교육의 현실을 3회에 걸쳐 집중 진단하고 있습니다. 그 마지막 순서로 유명무실한 교재들과 환경교육 정책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들어봤습니다. 박준영 기잡니다.

RE. 벼랑 끝에 몰린 한국의 환경교육.
경제는 선진국 문턱에 서 있지만 환경교육 정책은 후진국 수준을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전국 중고등학교 중 환경 과목이 있는 학교는 전체의 8.9%.
전 국민이 7살부터 환경교육을 시작해 12살엔 환경과학을 배우는 교육 선진국 핀란드에 비하면 갈 길은 멀기만 합니다.

INT. 신경준 교사 / 숭문중학교
"환경은 선택 과목이다 보니 교육과정이 바뀔 때마다 우선순위에서 인식하지 못하면 변두리 과목으로 전락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거든요. 그것은 한국이 환경을 보고 있는 현실과 한국 교육이 환경 교육을 보고 있는 현실과 비슷한데요..."

RE. 하지만 정부의 현실 인식은 교육 현장과 온도 차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의 환경교육은 지난 2008년부터 환경교육진흥법을 시행해오면서 선진국 수준에 돌입했다고 평가했습니다.

INT. 박혜정 사무관 / 환경부 환경협력과
"미국이나 여러 가지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뒤떨어지지 않게 (환경부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2008년 환경교육진흥법을 제정, 공포하고 이 내용을 바탕으로 학교나 사회 환경 교육 분야에 여러 가지 지원을 통해서 환경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RE. 방만한 운영으로 철 지난 환경교육 시청각 자료들로 가득 찬 환경교육국가포털 ‘초록지팡이’도 문제입니다.
정부는 환경교육에 관한 책임과 권한을 환경보존협회에 이관해 운영하고 있지만, 현실과 동떨어진 운영에 환경교사들은 대기업 교육포털에 의지하고 있습니다.

INT. 이상현 서울환경교육네트워크 사무처장
"국가환경교육의 경우 환경부가 위탁한 환경보존협회가 '국가환경교육센터'를 맡는 등 환경교육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센터는 환경교육을 가르치는 교사, 청소년, 시민단체 그리고 정부가 고민해야 하는 문제다. 하지만 환경교육과 관련된 예산이 보존협회로 모두 흘러들어 가다 보니 형식적인 운영에 그치고 있다."

RE. 그래도 정부는 환경교육을 지금과 같이 환경보존협회에 맡기겠다는 입장을 고수합니다.

INT 박혜정 사무관 / 환경부 환경협력과
"환경부 입장에서는 협회라는 타이틀보다는 협회가 국가환경교육센터이기 때문에 국가환경교육에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RE. 미국의 경우 환경보호청의 주도 아래 환경 교육국을 따로 운영하며, 환경교육 보조금, 환경교육상, 환경교육 자문위원회와 대책위원회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세계 선진국과 겨룰 만큼의 세밀한 정책추진까진 아니더라도, 배정된 환경교육 예산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사용할지 심사숙고하는 정부의 고민이 아쉽습니다.
환경TV 박준영입니다.

bakjunyoung@eco-tv.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