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교육, 2018년엔 더욱 줄어들 가능성 多

 

환경교육이 고사상태에 빠졌다. 환경 과목을 가르치는 학교는 물론, 전공 교사까지 줄어들고 있다. 소프트웨어 교과의 의무편성과 자유학기제가 적용되는 2018년엔 환경교과의 편성률이 더욱 줄어들 전망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주무부처인 환경부의 환경교육진흥 의지에 의구심이 든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18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신보라 의원(사진)이 교육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중고교 5576개 가운데 환경수업을 하는 학교는 496개로 전체의 8.9%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환경부가 제1차 환경교육종합계획을 수립한 2011년부터 시작됐다는 게 신 의원의 설명이다. 


연도별로 보면 환경수업이 있는 학교는 2011년 671곳을 시작으로 2012년 322곳, 2013년 573곳, 2014년 573곳, 2015년 521곳, 2016년 496곳 등으로 나타났다. 5년 만에 175곳이 줄어든 셈이다.  

환경을 전공해 학생들을 가르치는 환경전문 교육인력도 감소했다. 2011년 119명, 2012년 73명, 2013년 78명, 2014년 70명, 2015년 76명, 2016년 70명 등이다. 2011년을 제외하면 평균 73.4명꼴이다. 

상황이 이렇지만 환경부는 체험 행사나 콘텐츠 개발에만 주력해, 정규 교육 편성에는 소홀하다고 신 의원은 주장했다. 교육부를 설득하려는 환경부의 노력 부족으로 피해를 보는 이들은 환경 전문 교육 인력인 환경 교사들과 학생들이다. 

환경 과목 교과서. [출처=신보라 의원실]

 


교사들은 단위학교의 교육과정을 새로 편성할 때마다 스스로 나서 학교를 설득해야 하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마포구 숭문중학교 환경교사 신경준 씨는 “전국에 70명으로 집계된 환경교육 전공 교사 중에 실제 현장에서 환경수업을 맡은 교사는 전국에 28명에 지나지 않는다”며 “환경교사는 매년 인원 초과로 집계돼 과목변경과 복수 자격연수 공문 및 교육청의 회유 전화를 받고 상당수가 전과했다”고 밝혔다. 

환경 교사들뿐만이 아니다. 학생들도 올바른 환경 인식을 함양할 기회를 잃고 있다.  

환경을 교과목으로 채택한 서울시 52개 고등학교의 경우 환경 과목을 3학년 수업으로 배치한 곳이 36곳(67%)에 달했다. 고등학교 3학년 과정에 환경 수업을 편성할 경우 보통 자율학습 시간으로 활용돼 내실 있는 환경 교육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게 신 의원의 목소리다. 

전공 교사가 없는 학교에서는, 연수 과정을 거쳐 환경교사 자격을 획득한 교사(전국 176명)나 해당 학기에 수업시간을 배정받지 못한 교사들이 자격 없이 학생들의 환경 수업을 맡고 있다. 이에 신 의원은 “가뜩이나 다뤄야 할 범위가 크고 전문성이 필요한 환경수업의 질적 저하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환경 교육의 침몰은 2018년 급속하게 진행될 예정이다. 그해 소프트웨어 교과의 의무편성과 자유학기제가 동시에 적용돼 환경교과의 편성율은 더욱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는 게 신 의원의 이야기다. 

그러자 신 의원은 “교과편성이 줄어들면 환경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선택권도 줄고 체계적인 교육이 가능한 전공 교사들의 전과와 그로 인한 역량 손실도 커진다”며 “2018년 교과 편성을 결정하는 12월, 환경부가 내실 있는 환경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교육부를 적극적으로 설득해야 한다”고 밝혔다. 

bakjunyoung@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