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경제·경기 및 회사 내부상황 악화로 채용 감소

[제공=전경련]

 

대기업 2곳 중 1곳이 올해 신규채용 규모를 지난해보다 감소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조사한 '2016년 500대 기업 신규채용 계획'조사 결과, 답변한 210개 기업 중 올해 신입과 경력을 포함한 신규채용 규모를 지난해보다 줄인다고 답변한 기업이 48.6%를 차지했다.

지난해와 비슷한 규모라는 대답은 40.0%, 지난해보다 증가한다는 답변은 11.4%로 나타났다.

지난해 조사결과와 비교하면 '지난해보다 증가한다'는 답변은 19.6%에서 올해 11.4%로 8.2%포인트 줄어든 반면 '지난해보다 감소한다'는 답변은 35.8%에서 올해 48.6%로 12.8%포인트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신규채용을 축소하는 가장 큰 이유는 '국내외 경제 및 업종 경기 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52.0%를 차지했다. 또 '회사의 내부 상황이 어려워 신규채용 여력이 감소했다'는 답변이 32.4%, '정년연장으로 퇴직자가 줄었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9.8%로 이어졌다.

신규채용을 늘리는 이유는 '경기 상황과 관계없이 인재 확보 차원'이라는 답변이 62.5%로 가장 많았고 '회사가 속한 업종의 경기상황이 좋거나 좋아질 전망'이라는 답변이 29.2%를 차지했다.

대졸 신입채용의 경우는 45.2%가 '지난해와 비슷한 규모일 것'이라고 답했고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이라는 답변은 44.3%로 이어졌다. 특히 상반기 대졸 신입사원 중 이공계 졸업생 비중이 48.7%로 지난해 동기(58.6%) 대비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또 상반기 대졸 최종 합격자가 입사를 거부하거나 포기한 경우가 있다고 답변한 기업이 61.9%로 조사됐다. 포기 이유는 '다른 기업에 중복 합격했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80.8%로 가장 많았고 더 좋은 직장을 구하기 위해(8.5%), 근무지역 및 직무가 마음에 들지 않아서(6.2%) 등으로 이어졌다.

한편 답변한 기업 중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곳은 62.9%였고 '도입할 계획이 있다'는 답변은 21.0%로 나타났다. 임금피크제 도입 기업들의 임금피크제 적용 시작 나이는 평균 56.7세였다. 

 


반면 도입 계획이 없다는 기업도 16.1%로 집계됐다. 이유는 '노조와의 합의가 어렵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32.4%로 가장 많았고 '임금체계 개편 등으로 임금피크제가 불필요하다'는 답변이 26.5%로 뒤를 이었다. 

이밖에 '직무 전환 등 인사관리의 어려움'을 이유로 든 기업이 17.6%, '장년 근로자의 조기퇴직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는 답변을 한 기업도 5.9%로 나타났다. 

정부가 청년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실시하고 있는 상생고용지원금 제도에 대해 '이용한 적이 없다'는 기업은 85.2%였고 '이용한 적은 없지만 신청 절차 중'이라는 답변이 8.6%, '이용한 적 있다'는 답변이 6.2%로 이어졌다.

상생고용지원금은 임금체계 개편과 임금피크제 도입 등으로 채용 여력을 확보해 신규채용을 늘릴 경우, 청년 1인당 연 1080만원(대기업·공공기관은 연 540만원)을 2년간 지원해주는 제도다.

이용한 적이 없는 이유로는 '자격 요건·관리 절차가 복잡해 신청을 포기했다'는 답변이 31.3%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임금피크제 도입 또는 임금체계 개편을 실시하지 못해서(27.4%), 지원금이 적어 신규채용을 늘리기 어려워서(15.6%), 제도가 실시 중인 것을 몰라서(14.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송원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올해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 중국 경기 둔화, 우리나라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등으로 경기가 어려워지면서 취업시장이 쉽지 않을 것"이라며, "정년을 연장한 기업은 임금피크제 도입 또는 임금체계 개편을 의무화하고 정부는 상생고용지원금과 같은 청년고용 지원 정책의 실효성을 높여 청년일자리를 늘리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fly1225@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