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 물 절약 방향” 기조발표-최승일 고려대학교 교수

최승일 고려대학교 교수 출처=환경TV DB

 


생활용수 절약을 위해서는 누수 방지를 위한 노후관망 정비기술 개발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환경재단과 환경TV가 20일 대한상공회의소 중회의실에서 개최한 ‘기후변화대응 물 절약 정책 세미나’에 참석한 고려대학교 최승일 교수는 “기후변화 시대의 물은 대체 불가능한 필수자원으로 물 절약을 위한 정책과 기술개발은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국가적 사업”이라며 “농업용수, 공업용수, 생활용수 등 각 부문별 최적화된 물 절약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최교수는 “생활용수 절약을 위해서는 각 지자체 별 물수요 관리정책 중에서 누수방지를 위한 노후관망 정비기술 개발을 서둘러야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전국 지자체의 물수요 관리정책은 매 5년마다 시·도지사가 종합계획을 수립하면 시장·군수·구청장은 연차별 누수량 줄이기 목표와 정수설비 등 물 절약 시설의 연차별 보급계획 등을 수립해 시행하게 돼 있다.

그러나 환경부의 2013년 상수도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03년부터 2013년까지 10년간 전국 평균 누수량은 7억9340만톤이 달하는 등 획기적인 물 절약 목표를 수립하는데 역부족인 상황이다.

일례로 최 교수는 “제주도 2006년 유수율은 73.5%, 2007년 76.7%로 발표됐지만 제주도가 광역상수도 1~2단계 사업을 마무리한 후 2009년 유수량을 측정해보니 44%에 불과했으며 누수율 역시 14.8%가 아닌 42.1%에 달했다”고 설명했다.

1년에 제주도에서 생산하는 상수도 1억4395만㎥ 중 6061만1000㎥가 누수 된 셈이다.

이밖에도 최교수는 “당진, 보령, 서산, 홍성, 서천, 예산, 청양, 태안 등 8개 지역 연 급수량은 8327만6281톤이지만 유수량은 5574만5131톤에 불과한 실정”이라며 “지자체와 정부 간 통일되지 않는 정책으로 효율적인 국가적 누수관리에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이와 같이 누수되는 천문학적인 숫자의 물 낭비를 줄이기 위해서 최교수는 관망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안했다.

최교수는 “관망 통합관리 시스템을 통해 관망의 현황파악, 관망 최적수압관리, 누수탐지 및 정비, 노후관 갱생 및 개량, 사고 시 긴급복구, 사고방지 활동, 사고 시 단수구역 최소화, 소비패턴에 맞춘 물 생산, 최적의 에너지 설계 등을 아우르는 효율적인 절수기기 기술을 개발해 누수와 관망 관리에 나서야 할 때”라고 말했다.

binia96@eco-tv.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