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대응 물절약정책 세미나' 토론자-강찬수 중앙일보 논설위원

강찬수 중앙일보 논설위원 출처=환경TV DB

 



물절약기술개발과 관련 '스마트 워터 그리드(smart water grid)'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0일 환경재단과 환경TV가 공동주최한 '기후변화 대응 물 절약 정책 세미나'에서 토론자로 참석한 강찬수 중앙일보 논설위원(환경전문기자)은 사용 가능한 수자원을 연결하고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이용 효율을 높이는 '스마트 워터 그리드'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스마트 워터 그리드란 기존 수자원 관리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첨단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고효율 차세대 물 관리 인프라 시스템을 말한다.

강 논설위원은 "'스마트 워터 그리드'로 댐·저수지와 빗물·지하수·하수처리장 방류수 등 방치된 수자원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며 "호주 퀸즐랜드주에서는 '스마트 워터 그리드'를 구축, 물 여유가 있는 지역에서 부족한 지역으로 물을 보내 물효율을 높이고 있고 미국에서도 이를 검토 중이다"라고 말했다.

또 강 위원은 "국내에서도 2012년 스마트 워터 그리드 연구단을 구성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국내 우수한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면 이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 세계 물 시장 진출도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강 위원은 "국내 스마트 워터 그리드 도입을 한꺼번에 대규모로 진행하기 보다 작은 지역에서 소규모로 시작해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전략을 세워야한다"며 "수돗물 누수를 막고, 하수처리장 물 재활용, 빗물 저장·이용 등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스마트 워터 그리드 등을 통해 수자원 통합관리가 기술적으로 가능해도 법적·제도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체제가 갖춰져야 한다"며 "지금의 부처 이기주의를 극복하지 않으면 기술도 아무 소용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토교통부·환경부·농림축산식품부 등 부처별로 흩어져 있는 물 관련 업무도 하나로 모아서 체계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현재 부처별로 가뭄을 판정하는 기준과 중점 물관련 업무에도 차이가 있어 심각한 가뭄에도 체계적인 대응이 어렵다"고 강 위원은 우려했다.

hypark@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