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치 인구 이동, 땅값 등 빅 데이터 활용.. 예방책은 '미비'해 빈축..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서 운영하던 '화개 이발관'. 출처=서울시 종로구청 홈페이지

 


2000년대 이후 서울 종로구 서촌, 홍익대 인근, 망원동, 상수동, 경리단길 그리고 삼청동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현상이 있다.  소위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이라 불리는 현상이다.

젠트리피케이션이란 도심 중 상대적으로 땅값이 싼 지역으로 모여 든 독특한 분위기의 갤러리나 공방, 카페 등이 사라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들은 왜 사라질까. 이유는 '입소문' 때문이라는 게 서울시 측의 설명이다.

각각의 상점들이 입소문을 타고 유명해지면 유동 인구가 늘고, 커피숍 등 대규모 프랜차이즈점이 입점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후 임대료가 치솟으면서 원래 이곳에 터를 잡고 있던 가게들은 떠날 수밖에 없다. 쉽게 말해 굴러 온 돌이 박힌 돌을 빼 내는 것.

대표적인 사례가 홍대 인근이다. 홍대 인근 상가 주인들에 따르면 연 단위로 계약을 맺을 때 월세를 수백 만원씩 더 올려 달라는 요구가 비일비재하다. 원주민이 사라지게 만드는 이유다.

서울시는 이처럼 갑자기 치솟은 임대료 때문에 기존에 살던 주민들이나 상인들이 내쫓기는 현상을 막기 위해 '빅 데이터'를 활용,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지역을 파악하겠다고 12일 밝혔다.

활용할 계획인 빅 데이터는 지난 10년간 서울시내 인구 이동, 부동산 거래 등의 정보다. 분석한 결과는 지도화한 뒤 모니터링하게 된다.

모니터링 결과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지역의 경우 대응 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모니터링과 분석 계획만 세웠지 이후의 마뜩한 대안은 없는 상태다. 프랑스나 영국 등 유럽 선진국들의 경우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일어나는 특정 지역을 '보호 구역'으로 지정하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 이러한 제도적 장치는 없다.

서울시 관계자는 "사실 젠트리피케이션을 막는 일은 매우 힘든 일"이라며 "유럽과 서울에서 벌어지는 현상의 원인이나 대책 등이 다를 수 있지만,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하는 지역이 갖고 있는 특성을 유지·보존할 수 있도록 정책적·법적 장치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bakjunyoung@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