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석유 기반 화학산업에 9년간 1415억 투자..기후변화 대응

[환경TV뉴스]박순주 기자= 정부와 산‧학‧연이 사업단을 꾸려 석유를 대신할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올해부터 9년간 1415억원을 투입해 기후변화 대응과 더불어 국내 산업의 석유 의존도를 낮추고, 화학산업의 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C1 가스 리파이너리 기술’ 개발을 위한 사업단을 선정하고 본격적인 연구개발을 착수했다고 24일 밝혔다.

C1 가스 리파이너리 기술개요(출처=미래부)

 

서강대학교를 주관기관으로 하는 해당 사업단은 탄소(C) 1개로 이뤄진 가스, 예컨대 세일가스(CH4)와 화력발전소와 제철소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인 일산화탄소(CO)‧메탄(CH4)을 활용해 다양한 기초 화학소재 및 수송연료를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게 된다.

전 세계적으로 석유 의존도를 완화하고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세일가스 활용기술 개발 등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유럽의 경우 지난 2013년 이미 80조원에 달하는 연구지원 펀드를 조성했다.

국내 산업계는 온실가스(CO, CH4)를 활용하면 석유 수입의 상당량을 줄일 수 있고 화학 산업의 혁신이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기업의 원천기술 개발 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정부의 지원을 요청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래부는 이에 따라 ‘정부 연구개발(R&D) 혁신방안’에서 제시된 내용으로 ‘C1가스 리파이너리 사업단’의 역할과 기능을 ‘기술 프론티어’에서 ‘창조경제의 프론티어’로 강화했다.

이를 위해 사업단 산하에 수요기업 협의체를 구성해 사업초기 단계부터 기술기획, 평가 등에 산업체가 참여하고, 상용화가 근접한 시점부터 산업체가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대학‧출연연-산업체 연계‧개방형 사업단’을 운영해 연구개발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연구 성과의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해 나갈 계획이다.

실제 주관기관인 서강대학교와 서울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경희대, 아주대,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등 총 31개 연구기관의 C1 가스 전환 관련 최고 전문가 100여명이 연구개발에 참여하게 된다.

백일섭 미래부 원천기술개발과장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C1가스 리파이너리, 인공광합성, 바이오메스, 이산화탄소 전환 등 개별 기술개발 전략의 체계화‧효율화를 위해 산‧학‧연 공동으로 ‘탄소자원화 전략’을 수립 중에 있다”고 언급하면서 “연구개발(R&D) 투자의 가시적 성과 창출을 극대화하기 위해 대학‧출연연과 산업체의 실질적인 연계 및 협력을 지속적으로 확대‧발전시켜 나갈 것” 이라고 밝혔다.  

parksoonju@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