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응교 DSK엔지니어링 대표이사

김응교 DSK엔지니어링 대표이사

 

[환경TV뉴스] 요즈음 매스컴에선 6차 산업, 즉 정보통신기술(ICT)을 융‧복합한 농업에 관해 연일 보도하고 있다.

제조업 등의 경기가 전반적으로 불황에 허덕이고 있는 시점에 창조농업, 일명 창농(創農)은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대한 기대감과 은퇴자의 여생을 책임질 수입 대체로서 권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필자는 우선 요란스러운 거대한 구호보다는 현실적으로 충분히 검토된 창농 절차 및 진행과 관련, 진솔 되고 현재 직면한 제반 문제를 분석해 제2의 직업을 갈구하는 모든 귀촌‧귀농인에게 다시금 실망이 주어지는 일이 없도록 해야겠다는 생각이다.

이와 관련 새롭게 농촌에 이주하고 정착하려는 창농인 경우 맞춤형 프로그램을 갖춘 농산업이 되도록 해야 하며, 우선적으로 제일 중요시 되는 분야는 수익구조의 창출이다. 이러한 농산업이 되기 위해서는 1차 산업인 ‘농업’과 2차 산업인 ‘ICT 분야 및 에너지 기술’, 3차 산업인 ‘마케팅 및 홍보 관광 분야’의 접목된 기술이 융합되도록 해야겠다. 

그리고 농산품을 구매하는 거래처가 있어야 안정적 수익을 보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선 소규모의 귀촌보다는 대규모의 귀촌을 형성해 어느 정도 규모화된 농산품을 만들어 조직화하고 협동하는 조합을 형성하는 게 요구된다.

자생력도 절실하다. 귀촌이 형성된 지역의 특수성을 살려 적극적으로 농산업을 육성해 스스로 힘을 길러야 한다는 말이다. 지자체마다 농업기술센터가 운영되고 있지만 광범위한 농업 지원이나 지원책과 같은 큰 줄거리만 있어 각 아이템에 대해 스스로 각자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해야 한다.

예컨대 시범적으로 특정 농산물을 생산할 경우 농업기술센터는 행정‧경제적으로 보조적인 도움을 주고, 실질적인 업무 진행은 창농 관련분야 구성원들이 협조해 진행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또한 ‘Top-Down(상의하달)’ 방법보다는 ‘Bottom-Up(하의상달)’ 방식을 활용, 행정적 규제와 지시보다는 각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진행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즉, 각 구성원들이 스스로 필요한 사항 및 애로사항을 전달하고 이에 대해 행정기관은 지원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는 얘기다.

우리가 알고 있는 교훈에서 보듯이 ‘물고기’를 주기보다는 ‘낚시하는 법’을 가르쳐 줘야만 주어진 환경에서 스스로 탐구하고 도전하는 자세가 생겨나 자생력을 기를 것이고, 국가의 장래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문제가 발생하면 자신이 해결하게 하고, 필요한 사항은 행정당국에 협조를 요청토록 하게끔 해야만 창농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냥 퍼주기보다는 각 구성원들이 자립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자생력과 자립이 성공적인 창농의 근원적인 해결책이기 때문이다.

나아가 농산업도 충분히 국가 경쟁력과 국익에 도움이 되고 네덜란드 화훼농가처럼 자립화된 농산업으로 발전되리라 본다. 그러기 위해선 수출 농산업, IT농산업에 주력해 엘리트 농산업이 되도록 해야 하며, 이를 뒷받침할 우수한 인재를 먼저 길러 내야 한다. 

농산업에 몸을 담고 있는 젊은이들이 농업 외의 산업에 적용되고 있는 기본적인 기술에 대해서도 습득하고, 이를 농업과 융‧복합할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특히 농산업에서 절실히 요구되는 ▲환경 분야를 제어하는 IT의 근본 개념 ▲전기를 공급하는 에너지 기술의 근본 개념 ▲수익 구성에 대한 경제적 개념 ▲농산물 유통과 마케팅 홍보지식 등의 선행 교육이 필요하다. 아울러 농산업을 구심점으로 위에서 열거한 모든 사항을 연결해 하나의 종합화되고 융‧복합된 응용기술을 만들어야 한다.

사실 농산업 융합 교육은 무엇보다 전문분야 간의 기술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또 외형적인 실상보다는 인재양성과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선 농산업 분야의 고등학교‧대학교를 통한 특성화 교육의 기반 위에 창의적인 사고와 융합적인 적용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학생들은 전공분야를 넘어서 농산업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분야, 에너지 분야 등의 응용 학문을 습득해 농산업 분야에 적용되도록 해야 한다. 민관 차원의 적극적인 금융지원도 필요하다. 물론 다양한 금융지원 정책들이 있긴 하다. 하지만 외형 위주로 금융지원 사업이 편중되는 게 우리나라의 실상이라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중소기업에겐 기회의 장이 잘 열리지 않는 게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성공적인 창농과 농산업을 발달시키기 위해선 외형적인 치중보단 근본적인 기술개발과 원천기술 확보, 인재 양성, 정부의 정책적인 뒷받침과 금융지원이 충분히 이뤄져야 하겠다.

<김응교 대표이사 약력>
-성균관대학교 원자력구조공학 공학박사
-현(現) KEPIC(전력산업기술기준) 원자력 구조분과 전문위원
-현(現) DSK엔지니어링 대표이사

econews@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