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Pixabay

 


[환경TV뉴스]박현영 기자 = 동북아 한·중·일이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기 위해 원자력 산업 비중을 늘릴 전망이지만 안전문제는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동북아 원자력안전 협력 국내 심포지엄'에서 한·중·일 원자력 산업을 비교하며 이같이 26일 밝혔다.

현재 동북아시아의 에너지 상황을 볼 때 원자력발전소는 지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는 고리, 월성, 한빛, 한울 원자력발전소 등 24개 발전소를 운영 중이고 4개 발전소가 건설 중이다. 

정부는 에너지를 해외에서 의존하는 비율이 약 97%에 달하는 만큼, 유사시 에너지 안보차원에서 원자력발전소를 확대 중이다.

중국은 28개 원자력 발전소를 운영하고 24개 발전소를 건설하고 있어 전세계에서 원자력 발전소를 가장 많이 건설하는 국가다. 

일본의 경우, 후쿠시마 사고 이후 일본내 모든 원자력 발전 가동을 중지했었다. 하지만 원전 가동 중단으로 전력 부족이 일본 경제와 산업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는 의견을 받아들여, '센다이 원전'을 시작으로 42개의 발전소를 차례로 재가동할 예정이다. 

하지만 한·중·일 3국이 원전의 증가에 대처해 안전문제에는 아직 신경쓰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3국의 대부분 원자력발전소가 주변국에 가까운 해안 지역에 위치해 사고 발생시 상호 영향권 내에 있을 가능성이 있지만, 원자력 안전 규제기준이 달라 문제가 되고 있다. 

일본은 후쿠시마 사고의 교훈으로 '원전 중대사고 신안전규정'이 발효됐고 우리나라도 유사한 안전기준을 법제화 추진 중이다. 하지만 중국은 아직 원자력안전협약에 보고서조차 공개하지 않고 있다.

원자력발전 전문가들은 규제기준, 체계에 대한 상호 벤치마킹으로 체계의 동질화가 돼야 원자력안전에 협력이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원자력 전문가들은 3국 간에 원자력 산업에 뛰어든 시기가 달라 원자력 안전 협력을 하는데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일본은 원자력 발전소 건설보다 운영과 발전소 폐쇄에 관심을 보이고 있고 중국은 아직 건설에만 집중에 운전 경험을 축적하는 중이다. 

우리나라는 원자력 발전소 건설하고 운영하는 단계에서 발전소를 폐쇄하는 단계로 넘어가는 중간 단계이다. 

전문가는 각국이 보유한 발전소 운영 성숙도의 공통성을 고려한 특화 협력분야를 설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교수는 "원자력은 절대 포기할 수 없는 에너지며 후쿠시마 사고의 사례를 볼 때 원자력안전은 인접 국가간 협력이 필수"라며 "'원자력 안전협력'를 위해 정부와 학계, 연구계 산업계의 연계를 강화하고 운전경험의 공유를 중심으로 단계적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hypark@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