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오염 중 비점오염원 비중, 2020년에 71.9%까지 증가 전망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 "관련부처 확실히 통제할 콘트롤타워 필요"

 

 

[환경TV뉴스] 정택민 기자 = 수질오염물질 중 비점오염원(축사 등 불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오염)의 비중이 점점 증가하지만 이에 대한 정책이나 대안이 부실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염형철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은 26일 서울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제도화방안' 정책토론회에서 "비점오염원 배출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이날 정책토론회는 환경운동연합과 이이재의원실, 김성주의원실, 심상정의원실, 장하나의원실 등이 주최했으며 시민환경연구소가 주관했다.

염 사무총장에 따르면 전체 수질오염물질 중 비점오염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8년 27%에서 2003년 52.6%, 2010년에 67.4%로 점점 늘었다. 비점오염원이 현재와 같은 속도로 증가할 경우 2020년에는 71.9%까지 늘 것이라는 전망이다.

아울러 염 사무총장은 정부의 비점오염관리대책에 대해 언급했다.

2004년 3월 당시 국무총리실 수질개선기획단은 환경부 등 관련부처와 합동으로 '4대강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한 바 있다.

이는 4대강 유역에서 우천시 빗물과 함께 하천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을 줄인다는 목표로 마련됐다. 이후 2011년까지 1차 계획 추진을 완료했으며 이를 보완한 2차 추진계획이 2012년부터 2020년까지 추진 중이다.

염 사무총장은 "환경부는1차 계획 성과에 대해 종합대책을 적기에 완료하고 법령 개정 등 비점오염원 저감의 틀을 마련했다고 자평했다"며 "하지만 구체적인 내용도 없고 평가 기준도 없는데 어떻게 성과라 할 수 있냐"며 비난했다.

또 2차 계획에 대해서도 "'도시 개발을 하되 유출량을 줄이는 개발을 하자'는 등 추상적이고 현실성이 결여된 목표를 내걸고 있다"며 "심지어 도시·농촌·산림 등 6개 부문별 맞춤형 대책도 구체적이지 않고 실행대상 지역에 대한 언급도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비점오염관리대책을 제대로 추진하려면 먼저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국토교통부 등 관련부처를 확실하게 통제할 수 있는 정부의 콘트롤타워가 필요하다"면서 "또 비점오염 발생으로 인한 책임을 국민에게 돌리는 대신 주 원인을 제공한 발생자들이 확실하게 책임을 지도록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염 사무총장에 이어 발표를 가진 윤춘경 건국대학교 보건환경과학과 교수는 "그동안 비점오염에 대해 주로 도심지에서 많이 발생한다는 인식이 강했으나 실질적으로는 농지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윤 교수는 "비점오염의 발생은 면적에 비례하는데 국내 토지이용률 중 농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57%나 된다"면서 "논밭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줄이지 않으면 수질관리가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몇십년에 걸쳐 비점오염에 대해 연구한 경험을 토대로 낸 결론은 주민들의 참여와 제도적인 지원이 없으면 정책은 무용지물이라는 것"이라며 "농업비점오염 관리를 위해서는 제도 개선 및 주민 참여 지원, 농림부와 환경부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jtm1122@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