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TV뉴스] RE. 대량의 페놀이 유출된 포스코 마그네슘 제련소가 가동을 시작한 건 지난해 초부텁니다.

공장을 돌린 지 불과 몇 개월 지나지 않아 사고가 발생한 겁니다.

정확한 사고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지만 중국의 마그네슘 공장 건립방식을 그대로 벤치마킹해 페놀 저장고를 지하에 설치한 것이 화를 불렀습니다.

INT. 포스코 관계자
"일단 마그네슘이라는 것은 중국이 아무래도 주산지다 보니까, 중국에서 이런 공장의 형태들이 있잖아요. 그래서 저희가 그 공장의 형태 같은 것을 이런 것을 저희가 설계를 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것이 중국에 공장이 있었기 때문에 그런 걸 참고로 했었죠"

사고 이후 포스코는 101억원을 들여 저장고를 지상으로 끌어올렸습니다.

이후 지금까지 오염확산 방지를 위한 차수막 설치에 47억원, 지하수 정화에 60억원을 썼습니다.

확인된 것만도 208억원이 추가로 투입된 상탭니다.

포스코가 이 공장 건립에 투자한 금액, 700억원의 3분의1 가량이 추가로 들어간 겁니다.

문제는 앞으로 2025년까지 오염된 토양과 지하수를 정화하는데 공장건립비용보다 많은 돈을 쏟아부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전문가들은 대략 900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봅니다.

INT. 박영복/ 강릉시 환경정책과 계장
"포스코에서 정화하겠다고 정화 계획서가 들어왔고, 저희들이 그것을 심도 있게 검토를 해서 최종적으로 정화를 하도록 승인을 해줬는데 거기에 보면 토양은 4년 정도 걸리는 것으로 돼 있고, 지하수는 10년에서 12년 걸리는 것으로 돼 있어요"

포스코 입장에서는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지게 됐지만, 공장문을 닫지 않는바에야 정화비용을 쓰지 않을 방법이 없습니다.

INT. 심상정 의원/ 정의당
"1년이 지난 지금 오히려 오염이 더 확산돼 있고, 또 그런 오염의 원인을 규명하기 보다는 은폐, 축소하는데 급급해 왔어요. 페놀 유출 사고인만큼 원인 규명과 책임, 그리고 정화 조치들이 완벽하게 이뤄지는 것이 끝이라는 점을 분명히 지적을 드리고 싶습니다"

내년부터 화학물질관리법 개정안이 발효되면 사고 발생 사업장은 사고 수습 비용에다 매출액 대비 최대 5%의 과징금까지 내야 합니다.

앞으로 화학물질을 다루는 기업들이 포스코 페놀 유출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하는 이윱니다. 환경TV 신준섭입니다.

sman321@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