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방영 환경TV 초대석 '녹색을 듣는다' 인터뷰 통해 생물주권 문제 설명
기업들 이용 가능한 자원 DB 구축 위해 해야 할 일 많다 밝혀

▲ 김상배 국립생물자원관장

 

[환경TV뉴스] 신준섭 기자 = 생물자원 사용에 관한 국가 간 이익 공유를 핵심 내용으로 하는 '나고야 의정서'가 오는 12일 발효되면서 생물주권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남·북한을 합쳐 10만여종에 달하는 우리 생물자원의 주권을 지키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다.

김상배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최근 환경TV와 가진 인터뷰에서 국내 생물자원의 부족함에 대해 운을 뗐다.

김 관장은 "개체만 보면 남·북한에 10만여종의 생물이 있고 남한에만 4만여종이 있다"면서도 "생물을 찾아낸다고 해서 바로 생물주권을 주장할 수 있는 게 아니라 논문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생물자원이 부족해 해외에서 들여 올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해외 협력이 중요하다"며 "현재 동아시아 등 10개국과 업무협약(MOU)을 맺고 표본을 제공받아 연구·분석해 기업에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업무들이 중요한 이유는 생물자원이 곧 돈이 되기 때문이다. 10일 현재 강원도 평창에서 열리고 있는 생물다양성협약(CBD) 당사국총회에서는 오는 13일부터 첫 번째 나고야 의정서 당사국회의를 5일간 갖게 된다. 여기서 기업이 타국의 자원을 사용할 경우 얼마만큼의 수수료를 생물주권을 가진 국가에 줄 지를 논하게 된다.

유엔환경계획(UNEP) 산하 CBD 사무국의 대변인인 데이비드 아인스워스는 "이번 총회에서는 어떤 방식이 될 지, 얼마만큼의 인센티브를 적용할 지 등에 대해 큰 틀을 논의하게 될 것"이라며 "나고야 의정서는 매우 강력한 조치라는 점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나고야 의정서에 따르면 제약업계나 화장품업계 등 한국 기업들이 다른 나라의 자원을 쓸 경우 그 나라에 수수료를 부과해야 한다.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자원이 국내에 있다면 그만큼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셈이다. 국내 생물자원을 파악하고 주권을 주장해야 하는 이유다.

김 관장은 "대기업도 마찬가지지만 수만종의 생물자원을 다 연구할 수는 없다"며 "특성, 효능 등에 대해 어느 정도 정보는 있어야 기술개발이 가능하며 이 역할을 자원관이 하고 있다"고 설명을 이었다.

그러면서 일례로 중국의 팔각열매를 사용한 신종플루 치료제 타미플루를 들었다. 나고야 의정서가 발효되면 국내 제약업계가 특허 기간이 끝난 타미플루의 유사의약품을 만들더라도 그 원료를 수입할 때는 별도 수수료를 중국에 지불해야 한다.

이에 대해 김 관장은 "우리나라에도 비슷한 효능의 유사종이 있지만 기업들이 모른다"며 "그 정보를 분석해 기업에 제공하거나 기업과 공동으로 심층 연구를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관장은 이외에도 ▲자원관 전시·교육 ▲각 권역별 생물자원관 문제 등에 대한 설명을 이었다.

김상배 국립생물자원관장과 가진 좀 더 상세한 대담 내용은 이날 오후 3시10분에 방영하는 환경TV 초대석 '지속가능한 내일을 만나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올레IPTV(채널 218번)는 물론 인터넷 실시간 TV 서비스인 에브리온TV와 티빙을 통해서도 시청 가능하다.

sman321@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