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국회 환노위 회의실에서 열린 기상청 국정감사에서 많은 피해를 불러왔던 집중호우 관련 날씨예보 시스템이 도마위에 올랐다.

환노위 이미경 위원은 지난 7월 27일 집중호우 당시 같은 서울 안에서만 강수량이 최대 10배 이상 차이가 났다며 도시형 기상재해와 관련된 기상청의 예보 시스템 개선을 요구하고 나섰다.

짧은 시간내에 국지적 집중적으로 내리고 있는 도시형 기상특성을 고려해 도시형재해 담당기구를 준비하고 세밀한 기상관측 시스템 마련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현재 서울 기상관측을 위한 해상도가 12.5km로 서울은 관측 포인트는 4곳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이에대해 기상청은 기상관측소가 서울에 26개가 설치돼있으며 해상도는 연말까지 1km 범위로 좁힐 예정이라고 답변했다.

또 정진섭 위원은 우면산 산사태 당시 서초구청이 받지못했다고 주장해 문제가 됐던 재난 예보시스템에 대해 방재 담당자들의 유연한 대처를 유도하는 예보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문제나 메일을 활요한 재난 예상지역 예보 시스템은 담당자들이 위험상황을 판단하기에 정보가 많이 부족하고 재난대처를 위한 상황판단을 하는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특히 광주와 양평을 묶어 호우 상황을 예보하는 등 예보지역의 면적이 넓어 지자체 대처활용에 어려움이 많다며 보도 세밀한 지역예보 시스템 개발에도 노력해줄 것을 당부했다.

이정선 위원은 지난 집중호우 당시 기상청이 트위터보다 정보력이 부족했다며 보다 신속한 재해현장 대비 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집중호우 당시 가짜로 판명된'강남역 침수' 현장사진과 같이 인터넷 상 쏟아지는 누리꾼들의 재난현장 사진등의 자료들의 진위여부가 확인되지 않은채 유통되고 있다며, 기상청의 예보력 향상이 요구되는 단적인 사례라고 밝혔다.

정순영 기자 binia@eco-tv.co.kr




binia@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