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TV뉴스] 신준섭 기자 = 이명박 전 정부 당시 22조원이라는 막대한 혈세를 들여 우리나라를 관통하는 젖줄, 4대강을 부산하게 정비했다는 점을 모르는 국민들은 없다.

수천년을 흘러 온 강 전체를 단기간에 뒤집어 엎는 과정에서 환경단체뿐만 아니라 대다수 국민들이 정부에 대한 반발과 불신을 전에 없이 키웠던 사업이어서다. 이 과정에서 정부와 국민과의 소통은 비정상적일 정도로 없었다.

이 사업은 또한 4대강 생태계를 인위적으로 파괴해 수생태계 질서를 바꿔놓았다. 수생태계가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좀 더 필요하겠지만 최소한 생태계가 좋지 않은 방향으로 변화하는 징후는 곳곳에 드러나고 있다.

2012년 금강과 낙동강에서 떼죽음을 당한 채 수변으로 밀려 온 물고기들 대부분이 물 밑바닥에서 서식하는 어종이었다는 점이 대표적이다. 환경부는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원인 모름' 결론을 냈지만 이 현상이 벌어졌을 당시 주목할 만한 변화는 4대강 사업이 유일했다.

또한 철새도래지인 금강 하구둑에 가 보면 4대강 사업 이후 물이 불어나면서 수변을 잠식, 머물 곳을 잃어버린 철새들이 쉴 곳을 못찾고 먹이 문제 등이 해결되지 않은 둑 바깥으로 옮겨 간 모습 등을 관찰할 수 있다.

여기에 독성을 띈 녹조류 발생이 빈번하면서 사실상 녹조가 가장 심한 여름철의 경우 일부 지역을 제외한 4대강은 정화 없이는 동물이 먹을 수 없는 수준의 수질을 보이고 있다. 과학의 혜택을 받지 못한 말 못하는 동물들에게 식수원이라고 내 보이기 부끄러운 수준이다.

이 같은 4대강 사업의 폐해를 방증하듯 사업이 한창이던 2010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생태복지 수준은 전세계 180개국 중 162위 수준을 기록했다.

때문에 이번 4대강 재자연화 구상은 인위적 조작으로 비정상이 돼 버린 4대강의 자연을 정상으로 돌리는 반가운 일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걱정은 개발 논리를 부추기는 수변 지역 개발법인 '친수구역 활용에 관한 특별법(친수법)'이 여전히 상위법으로 남아 있다는 점이다. 때문에 정부가 과거의 구태한 친수법에 집착하기 보다 향후 100년을 바라볼 수 있는 재자연화에 눈길을 더 주길 기대해 본다. 그것이 '어른이라 부끄러운' 우리나라 사회의 비정상을 정상화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sman321@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