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부의 밀실행정 대책의 적정성 논란을 넘어 새로운 불신과 불안을 유발"

▲ 출처 = 동물자유연대

 

[환경TV뉴스] 지난 16일 전북 고창 오리농장에서 조류인플루엔자(AI)가 확인된 후 불과 3주 만에 280만마리의 닭과 오리가 살처분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I 초기 방역에 실패한 정부가 철새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등 무책임한 행정을 보이고 있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6일 환경운동연합과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동물자유연대 등 5개 환경·동물단체는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농림축산식품부는 초등 방역에 실패했을 뿐 아니라 '동림저수지에서 1000마리 철새가 떼죽음을 당했다'는 거짓정보를 흘리는 등 혼란을 불러왔다"며 "방재제의 성분과 영향에 대해서조차 공개하지 않는 농림부의 밀실행정은 대책의 적정성에 대한 논란을 넘어 새로운 불신과 불안을 유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AI 발병의 근본원인은 철새가 아닌 인위적인 공장식 축산환경에 있다고 꼬집었다.

A4용지 반장 만한 면적의 공간에서 평생 알만 낳다 죽는 닭들은 날개를 펴지도, 땅을 밟지도 못한 채 닭 고유의 습성인 모래모욕 한번 하지 못하고 죽는다.

환경·동물단체는 "밀집 사육은 수많은 개체에게 바이러스를 급속도로 환산시키고 바이러스 변이도 촉진한다"며 "생산성과 경제성에만 치중한 현 축산정책에 대해 전면적인 검토와 더불어 동물의 본성을 존중한 축산제도를 확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또 농림부가 주장하는 'AI 철새 발생론'의 비과학성도 지적하고 나섰다.

▲H5N8형 AI가 야생조류에서 발생한 사례가 없고 ▲철새와 가금류의 접촉 경로를 확인되지 않았으며 ▲ AI 발생이 철새(18일)보다 가금류(16일)에서 먼저 발생했고 ▲철새의 도래가 이번 겨울이 처음이 아니라는 점 등을 들어 정부의 설명에 설득력이 없다고 비판했다.

환경·동물단체는 "우리 사회는 AI 사태를 통해 교훈을 얻어야 한다"며 "공장식 축산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과 함께 철새와 공존하기 위한 대안을 마련하고 국민 건강을 지키기 위한 행정부서의 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news@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