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근 서울대 교수팀, 과학적 분석 결과 서울 25개구 중 서초구 홍수 가장 취약

▲ 2011년 강남역 침수 모습 (자료화면)

 

최근 집중호우가 내릴 때마다 침수 현상을 빚고 있는 서울 강남역의 침수 원인이 과학적 분석을 통해 밝혀졌다. 다양한 요소를 종합해 봤을 때 개발에만 치중한 서초구가 원인을 제공했다는 분석이다.

6일 이동근 서울대 교수팀의 연구에 따르면 서초구가 서울지역 25개 자치구 중 홍수 확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와 공동으로 진행 중인 '생태계 적응관리 기술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실시한 이번 연구는 홍수 능력이 취약한 도심지를 파악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

이 교수팀이 15가지 자연적·인위적 요소를 고려해 분석한 결과 서초구는 도시화 면적(1959만7456㎡) 대비 홍수확률이 50% 이상인 위험 지역의 비율이 56.6%로 전체 구 중 가장 높았다. 구 전체 면적(4688만2509㎡) 대비 홍수 위험 지역 비율도 23.6%로 광진구에 이어 2번째를 기록했다.

이 같은 결과가 도출된 이유는 도시화 진행과 함께 필요한 하수관거, 빗물저류조와 같은 인위적 홍수 대책이 미흡해서다. 실제 25개 구 중 전체 면적 대비 도시화 진행률이 가장 높은 동대문구(87.8%)나 중구(82.1%)의 경우 홍수확률 50% 이상 지역은 전무했다. 상대적으로 홍수 대비가 잘 돼 있었다는 평가다.

서초구 중에서도 특히 상습 침수 지역인 강남역은 도시화에 비해 홍수 대책 마련이 부실한 지역으로 손꼽혔다. 표고 20m 가량인 강남역은 지대가 높은 역삼이나 양재에서 물이 집중되게끔 돼 있다. 하지만 하수관거 외에는 홍수 대책이 없어, 기후변화로 야기된 일정 수준 이상의 집중호우에는 대응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이 교수는 "2011년 7월 강남역 침수 사례를 보면 31시간 동안 414.5㎜의 비가 왔는데, 특히 시간 당 58.0㎜의 비가 집중됐을 때 침수 현상이 벌어졌다"며 "이 때 하수관거의 수용량을 초과하자 105.6㎜의 빗물이 역류했다"고 설명했다.

그나마 있던 하수관거조차 서초구가 강남역 4거리에 위치한 삼성그룹 서초 사옥 건설 허가 과정에서 취약해졌다는 주장도 있다. 환경운동연합 등 시민단체들은 최근 강남역과 사옥을 잇는 지하통로 개설로 강남역 하수관거가 침수에 더 취약해졌다며 서초구의 '삼성 봐주기 식' 개발 논리를 비판했다.

때문에 강남역과 같은 경우 향후 도심 홍수 예방 대책이 절실하지만, 문제는 저류조 설치 등 기존 방식으로 침수 피해 예방이 어렵다는 점이다. 강남역은 명동과 더불어 국내에서 가장 땅값이 비싼 지역이다. 그만큼 새로운 시설을 설치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

더구나 건물이 빽빽이 들어서 있는 현 상황에서는 저류조 등을 위한 추가 공간을 내기조차 힘들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결국 이대로라면 강남역은 매년 침수 피해의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는 결론이다.

이 교수는 "강남역 등은 홍수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적응 능력도 취약한 사례"라며 "기상청 등의 보고서를 보면 '물폭탄' 현상은 앞으로 더 빈번해질텐데 개선될 수 있는 부분이 없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와 관련, 서초구 측은 대심도 터널을 비롯한 대규모 하수관거 공사를 통해 강남역 홍수 피해 예방을 도모하겠다는 계획을 넌지시 비쳤다.

sman321@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