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를 통해 각종 재해와 사고에 대처하는 방안이 마련된다.

방통위는 최근 국내 한 대학 연구팀에 '뉴미디어를 활용한 재난방송 전달 체계 연구' 용역을 맡기기로 결정했다고 10일 밝혔다.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재난방송 온라인 시스템과 연계해 재난 정보를 전달하거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해 재난상황을 빠르게 전파하는 등의 방안을 연구해 향후 정책에 반영할 예정이다.

SNS는 최근 집중호우가 중부지방을 강타했을 때 빠른 시간에 여러 사람에게 긴급상황을 알리는 역할을 톡톡히 수행하기도 했다.

지난 3월 일본 대지진 당시에도 일본에 가족이나 지인이 있는 사람들은 유·무선 국제전화망이 끊어진 상황에서 카카오톡과 트위터 등을 통해 안부를 주고받을 수 있었다.

방통위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을 통해 재난방송을 더욱 강화하는 방안도 연구할 예정이다.

예를 들어 지상파 신호와 무선 데이터 신호를 융합한 '스마트DMB'가 상용화하면 터널 등 지상파 수신이 안 되는 지역에서는 무선 데이터로 DMB 재난방송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긴급 재난상황 발생 시 DMB가 자동으로 켜지는 시스템도 개발할 수 있는지 방통위는 살펴볼 계획이다.

이에 앞서 방통위는 지난 5월 '소셜 플랫폼 기반의 소통·창의·신뢰 네트워크 사회 구현전략'을 발표하면서 위기·재난 발생 시 SNS를 통해 '임시관계 소셜 네트워크(Adhoc Social Network)'를 가동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임시관계 소셜 네트워크는 화재 등 재난이 발생한 장소에 있는 사람들이 긴밀하게 정보를 나누면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할 수 있게 도와주는 창구다.

LG유플러스(U+)도 SNS를 활용해 주요 공지사항을 가입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이는 지난 2일 전국적인 데이터 불통 사태가 발생했을 때 이용자들로부터 '불통 사실을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는 비난을 받은 데 따른 것이다.

지난 LG유플러스 불통 사태 때 많은 이용자는 "문자로 간단히 공지하면 될 것을 안이하게 대처했다"고 지적하며 문자를 통한 직접 수신이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제시했다.

하지만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전체 가입자에게 동시에 문자를 보내면 그 자체로 망에 과부하가 걸려 문자와 음성까지 불통될 우려가 있는 반면 SNS는 한번 공지하면 다양한 경로로 여러 사람에게 전파되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LG유플러스는 지난주 사고 때 트위터 등에 불통 사실을 설명하긴 했으나 혼란을 잠재우기엔 부족했다는 의견 등을 참고해 SNS 활용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장순영 기자 binia@eco-tv.co.kr

binia@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