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지자체, 국민 편의·폐가전제품 재활용 위해 무상 방문수거 시스템 구축

▲ 대형 폐가전제품 문전 수거 개념도 = 제공 환경부

 

앞으로 부산, 대구 등 4개 광역시와 경기도에서도 수명이 다한 TV, 냉장고와 같은 폐가전제품을 버릴 때 별도로 스티커를 구입해 부착하거나 별도의 장소에 직접 가져다 놓을 필요가 없게 된다. 서울시에서 실시하던 서비스가 전국 단위로 확대 시행되는 셈이다.

환경부는 가전제품 제조사와 광역지자체의 협력을 통해 대형 폐가전제품을 무상으로 배출·수거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정부의 이번 조치는 폐가전제품 수거 시 국민들이 느끼는 불편함과 일부 회수되지 않은 폐냉장고 등에서 냉매가스가 흘러 나와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다.

우선 기존에 시범사업을 시행하던 서울시는 올해도 동일한 서비스를 진행한다. 여기에 추가로 지난달부터 서비스를 실시한 대구를 비롯, 대전(5월), 부산(6월), 광주(7월) 등 4개 광역시가 순차적으로 수거 서비스를 시행한다. 도(道) 단위 중에서는 경기도가 유일하게 6월부터 무상 배출·수거에 동참한다.

환경부는 서비스가 정착될 경우 6개 시·도에서만 연간 약 120억원의 수수료 면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폐가전제품은 해당 시·도에서 매년 45만대 정도가 배출된다.

정연만 환경부 차관은 "제도가 시행되면 국민의 약 55%가 배출스티커 면제 등 서비스의 혜택을 받게 된다"며 "또한 회수된 폐가전제품을 재활용하면 약 350억원의 국가자원을 확보하고 23만t에 달하는 온실가스 저감효과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환경부는 2014년부턴 방문수거가 가능한 지자체를 대상으로 서비스 지역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농어촌과 도서 지역 등 접근성이 떨어지는 곳은 맞춤형 수거지원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sman321@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