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광화문과 강남 등에 발생한 도심홍수는 후진국형 홍수 관리 시스템이 문제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3일 서울 종로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반복되는 집중호우와 도심피해, 대책은 없는가?' 긴급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한 때라고 지적했다.

박창근 시민환경연구소장은 "지난 5월 100년 빈도의 봄비로 구미 해평취수장이 기능을 상실했고 장마에는 왜관철교 붕괴, 구미 2차 단수사태 등 연이어 물관련 재해가 발생했다"며 "이번에 광화문과 강남이 침수되고 우면산 산사태가 발생한 것까지 포함하면 올해 세번이나 100년 빈도에 해당하는 홍수가 발생했지만 공무원들은 재난이 발생할 때마다 천재라고 규정했다"고 밝혔다.

박 소장은 "서울시는 시민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전시행정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이번 서울 홍수피해는 후진국형 참사"라고 비판했다.

염형철 서울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홍수피해의 유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서울시의 치수대책은 대부분 배수펌프장, 하수관거 신증설 등에만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염 사무처장이 제시한 자료에 의하면 서울시가 지난해 9월 발표한 수방대책은 빗물펌프장, 하수관정비, 저류조시설 등이었고 이에 대한 사업비는 5000억원가량이다.

염 사무처장은 "수해가 나고 대규모 토목공사가 이어지는 패턴이 이어져오고 있다"며 이제는 발상을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인근 서울시 도시안전본부장은 "어떤 시각에서 서울시정을 바라보고 있는지 듣기 위해 왔는데 대책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없었던 것 같다"며 "이번 큰 비에는 침수와 산사태라는 두 가지 현상이 있었는데 두 가지를 분리해서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이 본부장은 서울시가 지나치게 시설 투자에만 집중하고 있다는 주장과 관련해 "시설이 충분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데 시설에 대한 충분, 불충분에 대한 시민의 공감대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긴급토론회에는 온영태 경희대 건축공학과 교수를 좌장으로 이인근 서울시 도시안전본부장, 박창근 시민환경연구소장(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 이병국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장, 염형철 서울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오재호 기후변화센터 정책위원(부경대 환경대기학과 교수) 등이 토론에 참여했다.

심재훈 기자 jhsim1@eco-tv.co.kr


jhsim1@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