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후핵연료를 모아서 저장하는 중간저장 부지 선정이 본격화된다.

사용후핵연료는 원자로에서 태우고 남은 연료봉으로 방사선을 대량 함유한 고준위 폐기물이다.

사용후핵연료는 방사능과 열량이 높아 일정기간 발전소내 임시저장 이후에도 재처리 또는 직접처분 전까지 최대 50년의 저장관리 기간이 필요하며 발전소내 저장조 용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저장시설인 중간저장시설 건설이 불가피하다.

정부가 지난 20일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2차 원자력진흥위원에서 '사용후핵연료 관리대책 추진 계획'을 의결함에 따라 부지 선정을 위해 내년 4월 인문·사회·공학 등 학계, 시민단체, 원전지역 대표 등으로 구성된 민간 자문기구인 '공론화위원회'가 출범될 예정이다.

위원회에서는 중간저장 방식과 운영기간, 부지선정 절차, 해당 지역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하게 된다.

위원회는 2014년까지 토론회, 설명회, 공청회를 개최해 각계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뒤 부지 선정 절차와 기준을 마련, 정부는 이를 반영해 부지 선정 절차와 투자방안이 포함된 '방사성폐기물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이후 2015년 부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해 사용후 핵연료를 중간저장하는 부지의 선정 작업에 들어가게 된다.

현재 고리, 영광, 울진, 월성 등 4개 원전 본부에서 임시저장하고 있는 사용후핵연료는 수용능력의 70% 가량이 채워진 상태로 2016년 고리 원전을 시작으로 저장공간이 포화될 전망이어서 중간저장시설 건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sman321@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