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강국’ 기조 유지…수소전문기업 600社 나온다
산업부, 수소전문기업 문턱 낮추고 지원 강화

수소 산업 강국을 목표로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 기조를 이어가고 있는 정부. 사진은 지난 11월 2일 제1회 수소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한 산업통상자원부(사진=산업통상자원부)/그린포스트코리아
수소 산업 강국을 목표로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 기조를 이어가고 있는 정부. 사진은 지난 11월 2일 제1회 수소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한 산업통상자원부(사진=산업통상자원부)/그린포스트코리아

정부가 수소산업 육성에 지속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이전 정부의 수소 정책을 큰 수정 없이 이어가며, 청정수소를 중심으로 한 수소경제 구축을 목표했다. 특히 현 정부는 2030년까지 수소전문기업을 600개사로 늘리고, 이를 통해 세계 1등 수소산업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방침이다.

◇ 기조 변화 없는 수소경제 활성화, 현 정부 바통

문재인 정부는 지난 2019년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지난 2021년 ‘수소선도국가 비전 선포’ 등을 통해 수소산업 육성과 수소 인프라 구축을 통해 글로벌 수소 경제를 리드한다는 비전을 발표한 바 있다.

당시 정부는 수소선도국가 비전을 통해 2030년까지 국내 청정수소 100만톤 생산체제를 구축하고, 글로벌 수소기업 30개 육성 및 수소 관련 일자리 5만개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2030년 수소 사용량을 390만톤으로 늘리고 청정수소 비율을 50%로 높여 수소를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제1의 에너지’로 키울 것을 공표했다.

정부의 비전에 국내 대기업과 수소 관련 기업 역시 호응했다. 특히 지난 2021년 국내 대기업 15개사를 중심으로 하는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이 발족하면서 기업들은 수소사업 협력과 과감한 투자를 약속했다. 이에 수소에 대한 관심과 투자 열풍이 불기도 했다.

이러한 뜨거운 관심은 2022년 소폭 꺾이는 듯 보였다. 현 정부가 문재인 정부의 탄소중립, 에너지 분야의 정책을 전면 수정할 것을 예고하면서 수소경제 정책에도 빨간불이 켜진 것이다. 그러나 우려와 달리 새 정부는 현 정부의 수소 관련 정책은 큰 수정없이 이어가고 있다.

실제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지난해 11월 2일 최초로 수소의 날을 지정하고, ‘세계 1등 수소산업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는 지난 정부의 비전과 맥락을 같이하는 것이다.

이어 지난해 11월 5일 한덕수 국무총리(위원장) 주재로 개최된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는 규모·범위의 성장, 인프라·제도의 성장, 산업·기술의 성장이라는 ‘3대 수소경제 성장전략’을 발표하며 일관적인 정책 기조를 보이고 있다.

수소전문기업 지정 기준을 개정해 성장 잠재력이 큰 수소기업을 발굴·지원할 것을 밝힌 산업통상자원부(출처=산업통상자원부)/그린포스트코리아
수소전문기업 지정 기준을 개정해 성장 잠재력이 큰 수소기업을 발굴·지원할 것을 밝힌 산업통상자원부(출처=산업통상자원부)/그린포스트코리아

◇ 산업부, 수소전문기업 늘리고 투자 강화한다

이러한 모습은 최근에도 이어지고 있다. 산업부는 3월 3일 수소경제정책관 주재로 수소전문기업 간담회를 개최하고, '수소전문기업 육성지원 방향'을 공유했다.

2021년 6월 도입된 수소전문기업은 수소경제로 이행하기 위해 수소사업 매출액이 일정비율 이상이거나 수소 관련 R&D 금액이 일정 비율 이상을 충족한 기업을 발굴·지원하는 제도다. 

산업부는 이러한 수소전문기업 지정 기준을 올해 7월까지 개정해 벤처 등 신생기업 위주로 성장 잠재력이 큰 수소기업을 발굴 확대할 방침이다. 현재 수소전문기업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총 매출액이 최소 20억원을 초과해야 한다. 산업부는 매출액이 20억원 미만인 기업도 수소사업 매출액 비중이 50% 이상이면 수소전문기업으로 지정되도록 기준을 낮춘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산업부는 현재 60개사인 수소전문기업을 2030년까지 600개사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산업부는 수소전문기업이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실제 산업부는 수소전문기업 지원사업 예산 규모를 지난해 19억에서 올해 23억으로 늘렸다. 이를 통해 신규 시장 진출을 위한 기술 사업화, 마케팅 등 맞춤형 지원을 확대하고, 기술개발 지원 강화, 수소 기업에 대한 금리 및 대출한도 우대지원 등을 도모할 계획이다.

또한 산업부는 이날 수소분야 규제와 관련해 수소 전주기 규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수소산업 규제지도 서비스’를 오픈해 수소 관련 사업에 필요한 법령과 규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수소전문기업을 대상으로 한 금융, 해외진출 세미나, 기술교류회 등을 개최해 기술, 마케팅, 자금 관련 수소기업 애로 해소를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처럼 지난해 12월 수소산업의 기틀이 되는 수소법 개정안이 시행되고, 정부도 수소 산업에 지원을 약속하면서 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한 민간의 투자도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정부는 민간 투자 촉진 및 수소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생산-유통-활용 분야 별 R&D, 실증, 시범사업 등을 적극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실제 산업부는 올해 상반기 내 수소발전 입찰 시장을 개설할 예정이며, 청정수소 인증제 등을 통해 청정수소 생태계의 기반을 닦는다는 방침이다.

이에 수소 업계 관계자는 “수소는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꼽히지만 청정수소를 기반으로 하는 수소경제의 완성은 하나의 국가, 개별 기업으로는 달성할 수 없는 과제”라며 “정부의 정책과 기업의 투자 의지가 시너지를 내야만 수소경제 완성과 수소산업 강국으로 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hdlim@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