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부 ‘ESG 확산, 기업과 인권 국내 이행 방안’ 세미나
공급망 실사에 포함되는 인권문제, 실사와 문화 정착 필요해

4일 법무부·대한변호사협회·유엔글로벌콤펙트가 공동 주관한 ‘ESG 담론 확산 과정에서 기업과 인권 국내 이행방안’ 세미나(사진=온라인 세미나 캡쳐)/그린포스트코리아
4일 법무부·대한변호사협회·유엔글로벌콤펙트가 공동 주관한 ‘ESG 담론 확산 과정에서 기업과 인권 국내 이행방안’ 세미나(사진=온라인 세미나 캡쳐)/그린포스트코리아

국제사회에서 기업의 공급망 실사 등 ESG경영의 의무화를 위한 법제화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도 기업 구성원에 대한 인권경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4일 법무부와 대한변호사협회, 유엔글로벌콤펙트(이하 UNGC)가 공동 주관한 ‘ESG 담론 확산 과정에서 기업과 인권 국내 이행방안’ 세미나에 참여한 발표자들은 인권경영을 강조하며 이와 같이 밝혔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이번 세미나는 글로벌 ESG경영 강화 흐름에 대응해 국내 기업 실정에 맞는 인권실사제도에 대한 이해를 돕고, 기업 내에 인권경영 문화 정착을 지원하고자 마련됐다.

'기업과 인권 관련 국제 규범 및 인권경영 필요성'에 대한 주제발표를 진행한 남승현 국립외교원 부교수(사진=온라인 세미나 캡처)/그린포스트코리아
'기업과 인권 관련 국제 규범 및 인권경영 필요성'에 대한 주제발표를 진행한 남승현 국립외교원 부교수(사진=온라인 세미나 캡처)/그린포스트코리아

◇ 외교·ESG 전문가, “ESG 담론 속에 인권경영은 지속 강화될 것”

이날 세미나는 주제발표와 사례발표로 나눠 진행됐다. 주제 발표는 남승현 국립외교원 부교수의 '기업과 인권 관련 국제규범 및 인권경영 필요성‘과 오승재 서스틴베스트 전무의 ’기업 인권경영담당자의 역할‘이 진행됐다.

남승현 부교수는 기업의 인권문제 논의에 대한 역사적 흐름과 현황, ESG경영 속에서 인권경영의 필요성에 대해 발표했다. 남 부교수의 발표에 따르면, 기업의 인권문제는 UNGC, OECD 등 국제사회를 중심으로 지속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2000년 환경, 노동, 인권, 반부패 4개 분야에 대한 10대 원칙을 발표한 UNGC와 OECD의 책임있는 기업 행위를 위한 실사 지침 등을 마련해 기업의 인권 경영을 강조하고 있으며, 미국, 유럽 등에서는 공급망 실사법을 마련하며 기업들에 강제성을 부여하고 있다.

남 부교수는 “최근 유럽과 미국의 공급망 실사법 등을 통해 ESG경영, 인권, 노동권의 법률이 만들어지고 있는 상황으로, 기업들은 인권실사의 중요성에 도달해 있다”며 “인권실사를 기반으로 인권경영 강화는 국내 기업에 부담이 될 수도 있지만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오승재 서스틴베스트 전무는 ESG평가에서 인권경영이 미치는 영향과 함께 기업 인권경영 담당자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를 이어갔다. 오 전무의 발표에 따르면, ESG평가에 인권경영은 사회(S) 분야에 포함돼 있으나 인적자원 관리, 공급망 관리, 국제이니셔티브(UNGC) 가입 정도의 부분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오 전무 역시 공급망 실사에 대한 글로벌 규범이 마련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권경영은 갈수록 강화될 것이고, 그 핵심에는 인권 실사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ESG 공급망 관리 속에 인권경영이 포함되고 있는 상황이라 유럽 등 실사법이 마련된 국가의 기업과 계약시 반드시 필요한 부분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오 전무는 “인권 경영을 위한 거버넌스를 마련하고, 경영진들은 인권경영을 위한 소통을 강화해아햔다”며 “한정된 자원 속에서 최대한의 성과를 마련하기 위해 단기·중장기 전략을 마련해 인권경영을 강화해 기업문화에 내재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두산과 근로복지공단의 인권경영, 공통점은 문화로 정착시키는 것

이번 세미나에서는 두산과 근로복지공단의 인권경영 우수사례도 발표됐다.

두산의 성희진 차장은 두산의 인권경영 철학과 인권경영 체계 등을 소개했다. 성희진 차장의 발표에 따르면 두산은 2016년 CSR전담팀을 구성하고 인권실사를 진행한 것을 시작으로, 현재 인권경영, 환경·건강, 차별, 프라이버시, 언행, 이해관계자 등 11개 항목의 인권영향평가를 전직원을 대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지속적인 리더 대상의 인권교육과 직원들의 인권향상을 위한 고충처리상담위원 제도, 두근두근 심리상담서비스 등 고충처리제도 등을 통해 직원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

성 차장은 “인권경영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교육, 경험, 실행, 성과로 이어지는 순환을 통해 만들어진다”며 “기업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모두가 존중받는 문화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근로복지공단의 사례를 발표한 안일곤 근로복지공단 윤리경영혁신추진단 대리 역시 문화를 강조했다. 안일곤 대리의 발표에 따르면 근로복지공단은 기업과 인권실행을 위한 준비(2018년~2020년), 인권경영제도 장착(2021년~2022년) 인권경영 고도화(2023년~2024년)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실무부서 및 책임직원, 인권 관련 위원회, 신고채널 등의 거버넌스를 구성·운영하고 있다.

무엇보다 인권경영선언문을 발표하고, 지속적으로 개정하고 임직원들에게 홍보하며 인권경영을 강조하고 있으며, 다양한 참여인권 테마 캠페인을 통해 교육, 참여, 성과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안 대리는 “인권경영을 위한 로드맵 마련부터 이를 이행화기 위한 실행방안을 마련하고, 문화로 내재화하면서 공단의 인권의식은 계속해서 상승하는 성과를 거뒀다”며 “ESG 생태계 속에서 인권 관련 로드맵·지침 등의 온전한 이행과 협력 및 공유를 통해 인권보호와 증진에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hdlim@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