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수요 증가...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요구돼
각국 정부 등 배터리 재활용 기준 마련 움직임

전기차 시장이 커져가는 가운데, 관련 산업 또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전기차 관련 보험을 출시하거나 출시를 검토하는 보험사가 늘어나고 있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온실가스 감축에 따른 자동차 시장 변화로 전기차 수요가 증가하면서 배터리 처리 방안에 대한 논의가 나오고 있다. 사용후 배터리에 대한 재활용 및 재사용이 요구되는 가운데 이에 따른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오현경 기자] 전기차 시장 규모가 커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사용후 배터리' 문제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각국 정부 등은 폐배터리 재활용 등에 대한 기준과 규정 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배터리 ‘재활용’ 시장이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발행한 ‘배터리 재활용 시장’ 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배터리 재활용 시장이 2020년 172억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6.1%로 증가하면서 2025년에는 232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자동차의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자동차 배터리 재활용 시장이 2019년 66억 7,00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9.14%로 증가하면서 2024년에는 103억 3,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전자기기(54억) 보다 높은 액수다. 전기차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면서 시장 규모가 더욱 커질 것이라는 관측도 이어진다. 

컨설팅업체 한국 딜로이트 그룹은 2030년 글로벌 전기차 시장 연평균성장률이 29%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전기차 판매량이 2020년 250만 대에서 2025년 1,120만 대, 2030년 3,110만 대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 폐배터리 어떻게 처리하나?

전기차 수요 증가에 따라 ‘사용후 배터리’ 문제도 주목받고 있다. 배터리에는 코발트, 니켈, 리튬 등 금속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그대로 폐기시 중금속 등 독성 화학물질이 토양 및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다. 

이에 수명이 다 된 배터리를 어떻게 처리할지가 골자다. 통상 배터리 수명은 초기 용량 대비 70% 이하로 떨어지면 교체를 해야 한다. 주기는 최소 5년에서 10년으로 알려졌다.

현재 사용후 배터리 처리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우선 배터리에 포함된 금속들을 추출해 제조시 다시 활용하는 ‘재활용’ 방법이 있다. 

이와 더불어 재활용 이전에 배터리를 다른 목적으로 ‘재사용’하는 방식도 있다. 특히 폐배터리를 활용해 에너지 시스템을 만들고, 필요할 때마다 전력을 쓸 수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로 재사용하려는 기술도 개발 중에 있다. 

◇ 각국 배터리 재활용 기준 마련 추진 

하지만 아직까지 배터리 재활용에 대한 국제적 기준은 마련되지 않았다. 없다. 이에 각국은 향후 폐배터리 처리가 필요해짐에 따라 규제 마련에 나서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 2018년 전기차 보급에 따른 폐배터리 발생량 급증을 우려해 재활용 방법 및 기준 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방법 및 기준 마련 연구’를 통해 “전기차 시대에 대비한 폐배터리의 표준화된 성능평가 시스템 구축 및 폐배터리 재활용 방법 및 기준 마련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어 폐배터리의 회수 및 해체 단계별 안전관리 지침 마련, 폐배터리 잔존 가치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관리 인력 및 설비 기준(안) 마련 등을 제시한 바 있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기준마련을 준비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최근 새로운 배터리 규제안을 통해 ‘지속가능한 배터리 사용’을 목표했다. 2022년 1월 1일부터 규정이 발효되면서 향후 전기차 배터리 탄소발자국 공시, 최소 재활용 소재 함량 요건 등이 추진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2030년부터 배터리에 포함된 금속성분에 재활용 소재 최소함량을 규정했다. EU에 따르면 코발트는 12%, 납 85%, 리튬 4%, 니켈 4%의 재활용 소재가 최소한으로 요구됐다.

미국은 캘리포니아주에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세계 전기차 전망 보고서(2021)’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 주는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 자문단을 통해 2022년까지 배터리 재활용 정책을 제안하도록 했다.

한편 일본은 지난해 전기, 전자 등에 국제표준을 발행하는 세계기구인 국제전기표준회의(IEC)에 사용후 배터리에 대한 국제표준 제정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hkoh@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