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50년까지 100% 청정수소 공급한다
"청정수소 대량 확보 기술 아직 부족...기업 연구개발에 제도적 지원 필요"

수소
수소

[그린포스트코리아 이민선 기자] 수소 생태계 구축에 속도가 붙고 있다. 수소에너지는 화석연료와 달리 고갈될 우려나 지역 편중이 없고, 무엇보다 친환경적인 무공해 연료라는 점에서 탄소중립 시대의 미래 에너지원으로 떠올랐다. 

다국적 컨설팅회사인 맥킨지는 2050년 전체 에너지 수요량 중 약 18%를 수소가 점유할 것으로 내다봤다. 글로벌 수소 시장 규모는 약 2938조원, 투자 규모는 약 5000억 달러(약 593조원), 관련 일자리는 3000만 개 이상이 창출 될 전망이다.

◇ 정부, 2050년까지 100% 청정수소 공급한다

정부는 지난 2018년 8월 수소경제를 3대 투자 분야 중 하나로 선정했다. 지난해 1월에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통해, 수소차와 연료전지를 기반으로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가운데 국내에서 사용되는 모든 수소를 2050년까지 100% 청정수소로 공급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 생산된 청정수소 공급을 대폭 확대하고, 수소차· 수소발전 등 수소 사용을 일상화한다는 것이다. 

수소는 생산 방식에 따라 그린수소, 그레이수소, 브라운수소, 블루수소로 구분된다. 여기서 청정수소는 그린수소와 블루수소를 두 가지다. 그린수소는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에서 생산된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한 수소다. 오염물질이 전혀 배출되지 않고, 전기 에너지를 수소로 변환하여 손쉽게 저장할 수 있어 재생에너지의 단점도 보완할 수 있다. 다만 수전해 방식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은 생산 단가도 높고, 전력 소모량도 커 아직까지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다.

블루수소는 천연가스와 이산화탄소 포집설비를 이용해 생산한 수소로,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하는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 기술을 통해 탄소 배출을 줄인 것이다. 블루수소는 화석연료에서 추출해 생산과정에서 이산화탄소는 발생하지만,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해 적은양의 탄소를 배출한다. 블루수소는 그레이·브라운수소에 비해 친환경적인 생산 방법인 것은 물론 그린수소에 비해서 경제성이 뛰어나 주목을 받고 있다. 

◇ "수소차 기술 우위지만 저장·운송 인프라 아직 부족해"

정부는 수소경제를 위해 2040년까지 수소차(수소버스·수소택시·수소트럭) 620만 대를 생산하고 수소충전소 1200개를 구축할 계획이다. 로드맵대로라면 2040년에는 연간 부가가치 43조 원과 새로운 일자리 42만 개를 창출할 전망이다.

이를 통해 올해 22만t에 불과한 국내 수소 사용량이 오는 2030년에는 390만t, 2050년에는 2790만t으로 불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2050년에는 수소가 에너지 소비의 33%를 차지해 석유를 제치고 최대 에너지원으로 자리 잡는 것이다.

정부는 이 수요를 청정수소로 모두 대체하기 위해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기술을 2025년까지 상용화할 방침이다. 여기에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수전해 설비 보급 확산을 위한 세제 혜택과 인센티브 등 제도적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정부는 국내 수소 생산량과 수입하는 수소 생산량을 합쳐 청정수소 자급률을 2050년까지 60%로 끌어올리기 위해 국내 자본과 기술을 투입해 해외에서 안정적으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도록 2050년까지 40개의 해외 수소 공급망을 구축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각국이 수소경제 패권을 잡기 위해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한국은 수소차, 선박과 에너지 산업 부문에서 우위에 있지만 아직까지 수소 저장이나 운송, 발전 등 인프라는 취약한 편"이라며 "청정수소를 대량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연구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minseonle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