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 선언한 인천시
인천시 자체 매립지로 '친환경 매립지' 조성 계획
이동학 쓰레기센터 대표 "매립지에 대한 인식 바뀌어야"

인천 서구에 있는 수도권 쓰레기매립지 3-1매립장. (사진 그린포스트 DB)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앞두고 서울과 경기도가 여전히 대안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반면 인천시는 친환경 매립지 및 소각장으로 대체하겠다고 나섰다. 이에 일각에선 정부 및 지자체가 친환경 쓰레기 처리시설에 대한 시민의식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진은 인천 서구에 있는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 3-1매립장 (본사 DB)/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오현경 기자]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앞두고 서울과 경기도가 여전히 대안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반면 인천시는 친환경 매립지 및 소각장으로 대체하겠다고 나섰다. 이에 일각에선 정부 및 지자체가 친환경 쓰레기 처리시설에 대한 시민의식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근 대선 후보자들이 잇따라 인천시 수도권매립지 문제 해결을 위해 공약을 내세웠다. 인천시 매립지 문제는 인천시가 지난해 수도권매립지의 기한 연장을 거부하는 데서 비롯됐다. 현재 수도권매립지 관할 구역은 인천시에 있다. 수도권매립지는 인천시와 서울시, 경기도 내 쓰레기까지 모두 처리해왔다.

인천시는 매립지의 악취, 오염 등의 문제가 이어지자 기한 만료 예정인 2025년부로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선언했다. 이와 더불어 인천시 발생 폐기물만 처리할 자체 매립지 및 소각장을 계획했다. 특히 자체 매립지로 ‘친환경 매립지’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친환경 매립지는 생활폐기물을 1차적으로 소각시킨 후 남은 소각재와 불에 타지 않는 폐기물은 지하에 매립하는 방식이다. 상부도 밀폐형 돔이 설치돼 환경적 피해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직매립량을 최소화하고 먼지 및 악취로부터 피해를 저감할 수 있다. 주변지역은 공원, 체육시설 등 주민친화시설로 조성된다. 

◇ 인천시 자체 매립지로 '친환경 매립지' 조성 계획

이처럼 친환경 매립지가 기존 직매립지 문제를 해결할 대체안으로 나온 가운데 이동학 쓰레기센터 대표는 매립지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동학 쓰레기센터 대표는 “기존 직매립은 굉장히 후진적인 매립방식”이라며 “친환경 매립장은 소각한 재를 땅에 묻는다. 지하 매립에 상부는 밀폐돼 있어 냄새도 나지 않는다. 또 부피가 줄어들어 매립지 기한도 늘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대표는 “매립 시 방출되는 가스는 포집 기술을 이용해 재생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며 “수도권 매립지도 포집 기술을 사용하지만 쓰레기를 통째로 묻기 때문에 가스 발생이 많다. 반면 친환경 매립장은 소각재를 이용하는 더 선진적인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가 제시한 국내 친환경 매립지로는 남양주 에코랜드가 있다. 인천시가 모델로 삼고 있는 곳이다. 남양주 에코랜드는 매립과 에어돔 형식의 지붕으로 먼지 및 악취를 저감하고 있다. 매립지 부지에는 산책로, 체육시설 등 주민친화시설이 조성돼 있다.

친환경 매립을 위한 소각장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이 대표는 “친환경 매립장은 쓰레기를 소각한 재를 매립하기 때문에 소각장과 공존해야한다. 도심 속에서 친환경적인 소각장도 가능하다“고 설명하며 하남시에 조성된 친환경 소각장을 예로 들었다. 하남시에 위치한 유니오파크는 지하 소각장 등이 설치되어 있고, 지상에는 공원과 어린이 물놀이 시설 등이 있다.

이 대표는 현재 넘쳐나는 쓰레기를 해결하기 위해 이와 같은 환경기초시설이 더욱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재활용에는 한계가 있다”면서 “모든 시민들이 쓰레기를 잘 버린다는 전제가 있어야 자원순환이 제대로 된다. 현재 쓰레기 처리 속도는 발생 속도를 못 따라가고 있다. 계속해서 증가하는 폐기물들을 처리하려면 대규모의 처리시설이 필요하다. 지금처럼 쓰레기를 매립하는 것은 결국 미래 세대에게 쓰레기 산을 물려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 이동학 쓰레기센터 대표 "매립지에 대한 인식 바뀌어야"

인천시는 친환경 매립지로 결정한 영흥도를 방문해 주민들의 친환경 매립지에 대한 이해와 수용성을 높이고자 했다. 이와 관련해 이 대표는 “친환경 매립지 및 소각장을 확대하기 위해 정부나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근거로 서울시와 경기도가 수도권 매립지 문제를 미루고 있는 상황을 지적했다. 이 대표는 “서울시나 경기도는 대체지도 구하지 못하고 다른 지역으로 쓰레기를 보내려는 방침을 유지하고 있다”며 “실제 친환경 매립지가 적용된 사례를 주민들에게 설명도 하지 않고 반대에 부딪혀 문제 해결을 미뤄두고 있다. 굉장치 무책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친환경 매립장 조성만 강조하는 것이 아닌 시민들의 기존 인식을 바꾸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친환경 매립장에 대한 홍보나 교육 프로그램 제공 등이 필요하다. 인천시가 친환경 매립지 모델을 채택하고 인천시 발생 쓰레기를 자체 매립장을 통해 친환경적으로 묻겠다고 나섰다. 이것이 자원순환 도시로 가는 방향이다. 수도권 매립지 문제에는 이러한 비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hkoh@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