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금리 높아진다는 전망 꾸준히 제기돼
가계 부채 줄이고, 투자에는 더욱 신중해져야

[그린포스트코리아 이민선 기자] 연내 기준 금리 인상 기조가 점차 구체화되고 있다. 

정부는 빠른 경제 회복, 인플레이션 우려, 급증한 가계부채 등 3대 요인을 꼽으며 1년 2개월째 동결로 유지한 기준 금리가 높아질 것이라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

기준 금리가 높아지면 일단 물가와 자산 가격은 안정된다. 금융기관은 자금조달 비용을 높이고, 가계와 기업의 대출이나 적금 금리를 높일 수 있다.

이렇게 대출이나 적금 금리가 높아지면 가계와 기업은 대출을 줄이고, 저축을 늘린다. 즉 소비와 투자는 감소하고, 원화 가치가 높아져 수출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부동산은 유지되거나 단기적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다. 결국 금리 인상으로 인해 전반적인 경제 활동은 위축된다.

그동안 금융기관은 원리금 상환 유예로 자체적으로 감당하기 힘든 상황에 이르렀다.

가계와 기업은 낮아진 금리로 대출을 받아 부동산이나 주식, 암호화폐 등 투자를 늘렸다.

실제 2021년 1분기 기준 가계 부채는 1765조원에 달한다. 관련 통계를 기록하기 시작한 2003년 이래 역대 최고치를 갈아 치우고 있다.

게다가 2금융권을 통한 신용대출 등 대출 금액은 500조원이 넘었다. 이렇게 쌓인 부채는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이 된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금리 인상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빚을 내 구입한 자산의 가격이 올랐지만, 금리 인상이 시작되면 폭락할 수도 있다. 이 때 경제적 파급효과는 훨씬 더 커진다. 말 그대로 빚을 떠안는다는 표현이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은 기존 대출을 줄여야 한다. 신용카드 대출이나 마이너스 통장은 우선적으로 정리하는게 좋다. 

만약 대출을 새롭게 받게 된다면 변동 금리보다는 고정 금리가 유리하다. 변동 금리로 대출을 받았을 경우 금리 인상이 본격화되면 이자 부담이 더 커진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같은 장기간에 걸쳐 상환하는 상품일수록 고정 금리가 더욱 필요하다. 

반대로 예금 만기 기간은 짧을 수록 유리하다. 다만 만기가 너무 짧은 상품은 금리 자체가 낮을 수 있기 때문에 최소 6개월 이상인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무엇보다 냉정해져야 할 때다.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해 '빚투(빚을 내 투자)'하겠다는 계획은 잠시 접어두고, 자산 매입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minseonle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