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달성 위해 여러 분야에서 탈탄소 움직임
녹색 산업인 농업도 예외 아냐
"기후변화 대응 위해 기존 농업방식 바꿔야"
정책적 뒷받침, 사회적 합의 우선해야

녹색 산업 분야인 농업에서 이산화탄소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은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농작물의 생산 과정에서 부터 우리 식탁에 오르기까지는 꽤 복잡한 과정이 있다. 이를 생산하고, 가공해서 유통하고, 소비자에게 닿기까지의 모든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는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녹색 산업 분야인 농업에서 이산화탄소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은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농작물의 생산 과정에서 부터 우리 식탁에 오르기까지는 꽤 복잡한 과정이 있다. 이를 생산하고, 가공해서 유통하고, 소비자에게 닿기까지의 모든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는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이민선 기자]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모든 분야에서 탈탄소 움직임이 시작됐다. 산업 분야에서는 화석 연료 사용을 줄이면서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고 있고, 획기적인 온실가스 저감 방법을 찾기 위해 관련 분야의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렇다면 인류가 지구상에 태어나 가장 먼저 시작한 농업, 여러 산업 중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이 분야에서는 어떻게 탄소중립이 이뤄지고 있을까?

녹색 산업 분야인 농업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은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농작물이 농장에서부터 우리 식탁에 오르기까지는 꽤 복잡한 과정이 있다. 농작물을 생산하고, 가공해서 유통하고, 소비자에게 닿기까지의 모든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는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경연) 김홍상 원장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려는 국가 목표에서 농업도 예외일 수 없다"며 "에너지 전환과 저탄소 영농법에 관한 연구개발, 온실가스 감축 기술 보급에 필요한 규제와 지원정책의 조화, 저탄소 역행 정책에 관한 전면 검토와 수정, 농업인의 인식 제고와 저탄소 영농법 보급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 "기후변화 대응 위해 기존 농업방식 바꿔야"

농경연이 지난해 도시민과 농민을 대상으로 한 '2020년 농업·농축 국민의식조사'결과를 보면 농민의 86.4%, 도시민의 88.3%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영농방식이 변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농민뿐만 아니라 도시민까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기존 농업방식을 바꿔야 하는것에 공감을 나타냈다. 

김홍상 원장은 "1지속가능한 저탄소 농업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농업 생산성을 고려한 정밀한 영농 기술의 개발 및 보급, 저탄소 영농법을 실천하는 농가의 경영 안정성 확보뿐만 아니라, 저탄소 영농법으로 생산한 식품에 대해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는 사회 시스템이 동시에 구축되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농업 분야에서 탄소중립을 최소한의 사회적 비용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민과의 사회적 합의를 통해 먹거리 생산, 쾌적한 농촌 공간 유지, 탄소흡수 기능과 같은 농업의 공익기능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김홍상 원장은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사회적 비용이 다소 들더라도 값싼 농산물의 안정적 공급에 초점을 맞춘 현재 농업 생산구조를 저탄소 농업 생산구조로 바꾸는 것에 관한 사회적 대화가 선결돼야 한다"며 "국민과의 사회적 합의를 통해 먹거리 생산, 쾌적한 농촌 공간 유지, 탄소흡수 기능과 같은 농업의 공익기능에 관한 고려가 함께 이루어질 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그린 뉴딜, 농업·농촌에서도 정책적 뒷받침돼야

한편, 임영아 농경연 부연구위원은 "문재인 대통령이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한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며 "하지만 농업·농촌계의 탄소중립과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사회적 합의 혹은 뉴딜이 이뤄지는지는 의문이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유럽의 '농장에서 식탁까지 전략(Farm to Folk Strategy)'처럼 농업부문의 그린 뉴딜은 단순히 환경친화적 농축산물을 생산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닌, 농축산물의 1차 생산에 더해 가공· 유통 과정의 환경친화성을 높이고, 소비자가 이러한 환경친화적 농식품을 선택함으로써 관련 생산·가공·유통 주체에게 그 이익이 돌아가는 체계가 선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임영아 연구위원은 "하지만 기존의 많은 농업정책이 생산·가공·유통·소비 부문에서 분절적으로 설계·시행되고 있어 농식품 체인의 전 과정을 고려한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소수의 시민단체나 친환경인증농가를 제외한 이해관계자들이 이러한 환경적 시급성과 실천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지, 그 인식이 실제 우리의 실천과 연결되고 있는지 따져봐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2050년 탄소중립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농민, 유통업자, 도소매업자, 식음료점·식당, 소비자가 각자의 영역에서 온실가스 배출량과 화석연료 에너지 사용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현재도 논의 중인 다양한 농식품 정책에서 환경적 지속가능성이 심도 있게 고려되고 있는가도 살펴봐야 한다.

minseonle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