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마다 ESG 평가 요소와 가중치 달라
ESG 워싱 막으려면 기업 변화 방향 살펴봐야

 

[그린포스트코리아 이민선 기자] ESG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연기금과 국부펀드, 자산운용사 등 기관들은 ESG 평가 원칙을 세우고 이를 근거로 투자처를 결정하고 있다. 개인 투자자 역시 수익 극대화에 집중하던 투자 방식에서 벗어나 투자 자체가 사회적으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 살피고 있다. 

이처럼 ESG는 기업의 생존 필수 요소이자 소비자와 투자자가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주요 요인으로 자리 잡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정해진 기준이 없어 많은 기업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

대기업 차원에서야 어느 방식으로든 대응이 가능하겠지만, 중견 기업이나 중소기업 등 규모가 작은 곳에서는 대응이 쉽지 않다. 소비자들 역시 기업들의 ESG 성과를 유심히 살펴보는 경우가 늘고 있지만, 확인할 수 있는 정보는 기관 투자자보다 한정적이다.

ESG 평가 기관은 미국의 MSCI, DJSI, Sustainalytics(서스테이널리틱스) 등이 대표적이다. 국내 기관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서스틴베스트, 대신경제연구소 등이 있다. 다만 기관마다 평가 기준은 제각각이다. E(환경), S(사회), G(지배구조)를 평가하는 요소도 다르고, 그에 따른 가중치도 다르다. 이러한 평가 기준은 전 세계 70개국에 약 360개 정도가 있다. 

국내 기관과 해외 기관의 평가가 아예 상반된 경우도 있다. 특히, 이 경우에는 ESG 워싱의 우려가 크다. 실제로 ESG 경영을 하고 있지 않는데, 마치 지속가능한 기업인 것 처럼 꾸며낸 것이다. 실제로 사회 공헌을 많이해 언론의 평가가 좋은 기업이 있는데, 실제로는 환경 오염의 주범이 되는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다. 

이에 국내에서는 ESG 평가 기준을 도입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다만 모든 ESG 평가 기준을 통일시킬 수는 없다. 산업 별 특성도 다르고, 기업마다 특징도 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말 이 기업이 ESG 경영을 실제로 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준은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는 ESG가 필수인 사회로 변화해 나가는 과정을 겪고 있다. 여기서 잡음도 많고, 때로는 기존 방식과 충돌하는 경우도 있다. 중요한 점은 기업이 얼마나 진정성을 갖고 ESG 경영에 임하는지, 부족한 부분을 어떻게 개선해 나가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기업은 단순히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한 전략보다는 기업 자체에 ESG를 내재화해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나아가야 한다. 

minseonlee@greenpost.kr

키워드

#ESG #기업평가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