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유역 먹는 물 안전관리 위한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
2030년까지 주요 지점 수질 II급수 이상 개선, 취수원 다변화

환경부는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을 마련하고, 이에 대한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해 사업 비용 및 적용 기술 등을 구체화하기 위한 ’타당성 검토 및 기본구상 수립 용역‘을 올해 안으로 착수할 예정이다. (낙동강유역환경청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환경부는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을 마련하고, 이에 대한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해 사업 비용 및 적용 기술 등을 구체화하기 위한 ’타당성 검토 및 기본구상 수립 용역‘을 올해 안으로 착수할 예정이다. (낙동강유역환경청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이민선 기자] 환경부가 낙동강 유역 먹는 물 안전관리의 초석을 마련했다. 환경부는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을 마련하고, 이에 대한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해 사업 비용 및 적용 기술 등을 구체화하기 위한 ’타당성 검토 및 기본구상 수립 용역‘을 올해 안으로 착수할 예정이다.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공동위원장: 한정애 환경부 장관, 이진애 인제대 교수, 이하 위원회)는 6월 2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부제 안전한 먹는 물을 위한 수질개선과 취수원 다변화)’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이번 통합물관리방안의 의결로 낙동강 먹는 물 갈등 해결을 위한 단초를 마련하게 됐다”라며, “향후 정책 이행단계에서 유역 주민들과 소통을 통해 공감을 이끌어 내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낙동강 유역은 먹는 물의 본류 의존도가 높은 반면, 다른 지역 상수원에 비해 수질 오염도가 비교적 높아 식수에 대한 주민 불신이 높은 상황이다. 지난 30년간 크고 작은 수질오염사고 발생으로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확보를 위한 상‧하류 지역 간 갈등이 지속돼 왔다. 

이런 배경 아래 환경부는 낙동강 유역 지자체와 상호협력을 위한 협약을 체결(상류 2019년 4월, 하류 2019년 8월)하고, 1년 6개월간의 연구용역 등을 거쳐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을 마련한 후 지난해 말에 위원회에 심의를 요청했다. 

위원회는 낙동강 본류 수질개선을 최우선 원칙으로 약 5개월간 환경부가 제출한 안건을 깊이 있게 검토했다. 취수원 다변화 사업 추진 시 착공 전까지 객관적인 방법을 통해 주민 동의를 구할 것을 조건으로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이날 의결된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에 따르면 2030년까지 주요 지점 수질을 II급수 이상으로 개선되도록 노력하고, 2028년까지 취수원 다변화로 영향을 받는 지역의 우려를 해소한다. 특히, 지역이 상생하는 방안을 강구할 방침이다. 또한, 설명회·토론회 등을 통해 지역주민과의 소통을 이어가면서 이번 정책의 수용성을 높이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이진애 공동위원장은 “낙동강 유역민들의 오랜 염원인 낙동강 수질개선과 안전한 식수원 마련을 위한 큰 방향을 유역 협치(거버넌스)인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에서 의결되었음을 뜻깊게 생각한다”라면서, “추후 사업들이 실행될 때, 지역민 등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이 보다 충실히 반영되고, 내실 있게 진행되어 낙동강의 오랜 염원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minseonle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