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바다를 위한 해결책: 해양보호구역’ 보고서 발간

그린피스 서울사무소가 8일 ‘세계 해양의 날’을 맞아 해양보호구역 지정의 중요성과 한국 정부의 역할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했다. 사진은 플라스틱 쓰레기를 섭취하려는 거북이의 모습. (그린피스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피스 서울사무소가 8일 ‘세계 해양의 날’을 맞아 해양보호구역 지정의 중요성과 한국 정부의 역할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했다. 사진은 플라스틱 쓰레기를 섭취하려는 거북이의 모습. (그린피스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이한 기자] 기후변화에 따른 위기에 대응하고 해양생물 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해 공해(公海)상 해양보호구역을 반드시 지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환경단체 등에서 꾸준히 제기한 문제인데, 전 세계 바다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공해를 체계적으로 보호할 근거가 없어 무분별한 개발과 오염이 이어지고 있다는 시선이다.

그린피스 서울사무소가 8일 ‘세계 해양의 날’을 맞아 해양보호구역 지정의 중요성과 한국 정부의 역할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했다. ‘위기의 바다를 위한 해결책: 해양보호구역’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다.

그린피스는 보고서에서 지구가 직면한 기후위기 해결의 실마리가 바다에 있다고 주장했다. 그린피스는 “해양은 중요한 탄소흡수원으로서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핵심 도구”라고 전제하면서 “심해층은 지구상에서 가장 큰 탄소 저장소로, 대기 내 탄소량의 50배 이상, 지표 상의 초목, 토양, 미생물 전체에 저장된 탄소 총량보다 10배 이상 많은 양을 저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해양에 의해 흡수되는 탄소를 블루카본(Blue Carbon)이라고 부른다 그린피스는 “지난 20년간 인간 활동으로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25% 가량이 해양에 흡수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해양의 탄소 포집 및 저장 능력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증가율을 감소시키고 지구 온도 상승폭을 줄이며, 기후위기 피해를 완화시킨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그린피스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해양을 건강하게 지켜내기 위해 해양보호구역 지정이 필수”라고 주장했다.

그린피스가 해양보호 아틀라스(MPAtlas) 보고서를 인용해 밝힌바에 따르면, 2019년 2월 기준으로 보호구역에 해당하는 해양 면적은 4.2%이며, 절대보전해역은 약 2.2%에 불과하다. ABNJ만으로 한정할 경우, 해양보호구역 면적은 1.2%, 절대보전해역은 0.8%로 추정된다. 참고로 ABNJ는 모든 국가의 관할권 밖에 있는 국제수역, 즉 국가관할권 이원지역을 의미한다.

그린피스는 “전 세계 바다 면적의 약 61%를 차지하는 공해(公海)는 어느 국가의 소유도 아닌 공통 해역으로, 아직까지 이를 체계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국제법이 없어 무분별한 개발과 오염이 계속돼 왔다”고 주장했다.

최근 국제 사회는 보호를 위한 움직임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과 영국, 독일, 스페인 등 60여 개국이 30x30 방안에 공식 지지를 선언했다. 한국 정부는 지난 5월 30~31일 열린 P4G 서울 정상회의에서 2030년까지 공해상 3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하는 ‘세계해양연합(Global Ocean Alliance)’에 동참하겠다는 공식 의사를 밝혔다. 당시 문재인 대통령은 “해양이 중요한 자연적 탄소흡수원이라는 사실에 주목한다”면서 “해양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하고 추가적 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연하 그린피스 해양 캠페이너는 “정부가 공해상 해양보호구역 지정에 공식적인 지지 입장을 밝힌 것을 환영한다”고 전제하면서 “공식 선언이 나온 만큼 정부가 곧 개최될 유엔 해양생물다양성보전(BBNJ) 협약 4차 정부간 회의에 직접 참석해 효과적인 해양보호구역 지정과 이행을 보장하는 강력한 협정을 지지하고 정치적 협상에 힘을 더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린피스는 2016년 세계자연보전총회(WCC)에서 채택된 ‘2030년까지 전체 해양의 30% 이상을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자’는 결의안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지난 2019년부터 한국을 포함, 전 세계 20여 개 국가에서 해양보호구역 지정 캠페인을 벌여왔다.

leehan@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