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박은경 경제부 기자

[그린포스트코리아 박은경 기자] 시중은행이 인터넷전문은행(이하 인뱅) 설립을 위한 전초전에 나섰다.

앞에선 네이버와 카카오로 대표되는 빅테크가 공습해오고 뒤에선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들이 추격해오며 위기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지난달 26일 열린 은행엽합회 정기 이사회에서 시중은행장들은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위한 의지를 다졌다. 시중은행뿐 아니라 JB금융지주 등 지방은행들도 은행표 '인뱅' 설립의지를 밝혔다.

불과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네이버파이낸셜의 소상공인대출상품 출시를 두고도 은행권의 긴장감은 크지 않았다. '메기'로 분류되는 네이버와 카카오의 선전에도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빅테크와 인터넷전문은행들이 넘볼 수 없는 자산관리(WM) 및 기업금융 등 고유의 영역이 있어서였다.

당시 은행 실무진을 상대하던 핀테크나 관련 업계 관계자들은 일제히 "은행들은 그래도 콧방귀도 안껴요"라고 말했었다. 인터넷전문은행들과 빅테크가 활동하는 무대는 소매금융, 그것도 비대면 한정인 만큼 은행의 근간을 흔들 만큼 위협적이진 않다는 분위기였다. 

반면 일부에선 그런 자신감이 얼마나 갈까하는 우려가 존재했다. 실제 오래 못가 연 초 은행장들과 주요 금융 지주사 최고경영자(CEO)들은 위협감을 내보였고, 급기야 인터넷전문은행 설립 의지를 띄웠다.

그렇다면 빅테크와 핀테크, 인뱅 업계는 어떻게 바라볼까. 시중은행의 다부진 의지보단 긴장감은 약한 분위기다. 시중은행 특유의 '공급자 자세'가 쉽사리 바뀌긴 힘들 것이라 추정해서다.

인터넷전문은행과 빅테크, 핀테크는 은행과 시각이 달랐기 때문에 오랜 시간 시중은행이 점유해왔던 소매금융 영역을 파고들 수 있었다. 오랜 시간 축적해 몸에 밴 은행들의 지배구조와 공급자시각이 바뀌지 않는 한 지금 내놓는 '플랫폼에서 진보한 서비스'라는 시각을 뛰어넘는 기대를 채워주기란 힘들 것으로 내다본다.

현재 플랫폼 서비스조차 신한은행의 경우만 금융업과 계열사의 서비스가 유기적으로 연결돼있을 뿐, 국민은행은 통합 플랫폼 서비스를 찾는 중에 있고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의 경우도 서비스를 제고하고 있다.

관련 업계 전문가들은 은행들이 성공적 인뱅설립을 위해선 지금의 조직과 철저히 분리하지 않으면 힘들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기존 은행 조직과는 차별화된 다른 체질의 조직설립이 필요하단 의견이다.

은행들이 기술력을 제고하고, 고급인력을 영입하기 이전에 해야 할 가장 시급한 일은 은행이 오랜 시간 금융시장에서 우위를 점하며 갖고 있던 '공급자 시각'을 버리는 일이다. 한 마디로, 체질개선이 필요하다. 

mylife1440@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