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자동차 브랜드 아우디가 재단과 기업활동을 통해 진행하는 환경 관련 행보들을 공개했다. 아우디는 전기차 모델 확대를 통해 탈탄소를 시도하는 한편, 환경 재단을 통해 강과 바다 정화 활동을 벌이거나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걸러내 지하에 광물화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자동차 산업계가 “소비자 선택권과 혁신생태계를 존중하면서 새로운 제도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이한 기자] 자동차 산업계가 “소비자 선택권과 혁신생태계를 존중하면서 새로운 제도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회 모빌리티포럼이 13일 ‘모빌리티 패러다임 전환과 산업계 영향’과 ‘자율주행차 기술동향 및 산업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국회 모빌리티포럼 2차 세미나를 열었다. 이 포럼은 한국자동차산업협회가 후원한다.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은 이날 축사를 통해 “최근 자동차산업은 전기동력차와 자율주행차 위주로 발전해가는 가운데 우버, 리프트, 블락블락 등 데이터, SW, AI등 신기술을 활용한 플랫폼기업들도 새로운 시장을 열어가면서 모빌리티 산업은 진화하고 있다”고 전제했다.

그러면서 “우버의 사례에서 보여지듯이 소비자 선택권과 혁신생태계를 존중하면서 새로운 제도 기반 마련에 소극적이어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정 회장은 모빌리티 산업의 성장을 위해 AI와 빅데이터 활용 기술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국회의 협조도 당부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최웅철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과 교수가 ‘모빌리티 패러다임 전환과 산업계 영향’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최 교수는 “최근 팬데믹 이슈와 지구 온난화 문제 등에 대한 세계적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언택트와 친환경에 대한 절박한 요구가 미래 모빌리티 이슈에 대해 초혁신적 변혁을 갈구하게 되었다”면서 모빌리티 패러다임 변화의 배경 설명했다.

이에 따라 모빌리티 형태는 자동차·열차 등 정형화된 모빌리티에서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모빌리티로 전이되는 단계에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모빌리티 서비스는 무인차 기반 온디맨드 서비스 이전 단계인 운전보조 및 차량 공유 단계에 이르렀다며 모빌리티 패러다임 변화의 산업별 영향을 언급했다.

이날 유시복 한국자동차연구원 자율협력주행연구센터장은 ‘자율주행차 기술 동향 및 산업 활성화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유 센터장은 미래차 핵심인 CASE 산업의 급격한 성장세와 향후 전망을 소개하고, 자율주행 산업에 대한 각 정부부처별·산업별 시각차를 조명했다.

또한 자율주행 산업화의 핵심인 자율주행 서비스 구성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단계별 추진전략, 우리 정부·지자체의 추진계획, 그리고 레벨3 도입의 기술적 난제 등을 설명했다.

아울러 택배, 무인스토어, 자율주행택시 등 사례를 들어 자율주행 생태계 구성요소와 기업 및 공공의 역할, 생태계 형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법을 모색했다.

현재 여·야 총 56명의 국회의원으로 구성된 국회 모빌리티포럼은 권성동·이원욱 의원이 공동대표를, 윤한홍·홍성국 의원이 연구책임의원을 맡고 있으며, 작년 21대 국회 개원 직후 출범하였다.

leehan@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