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 인쇄 공보물, 환경적인 대안은 없을까?

때로는 긴 글 보다 한 장의 사진이 더 많은 메시지를 담습니다. 과거 잡지기자로 일하던 시절에 그런 경험을 많이 했습니다. 포토그래퍼나 디자이너에게 어떤 느낌의 작업물을 원하는지 전달하려면 빽빽한 글을 채운 작업지시서보다 딱 한 장의 ‘시안’이나 ‘레퍼런스’가 훨씬 더 효과적이었습니다.

살면서 마주치는 여러 가지 환경 관련 이슈, 그리고 경제 관련 이슈가 있습니다. 먼 곳에 있는 뉴스 말고 우리가 아침저녁으로 마주하는 공간에서 눈으로 직접 볼 수 있는 것들 말입니다. 그런 풍경들을 사진으로 전하겠습니다.

성능 좋은 DSLR이 아닙니다. 그저 주머니에서 꺼내 바로 찍을 수 있는 폰카입니다. 간단하게 촬영한 사진이지만 그 이미지 이면에 담긴 환경적인 내용들, 또는 경제적인 내용을 자세히 전달하겠습니다. 마흔 여섯번째 사진은 인쇄물로 배달된 선거 공보물 모습입니다 [편집자 주]

기자의 집으로 배송된 선거공보물. 반드시 필요한 자료지만, 한편으로는 아쉬운 마음도 든다. (이한 기자 2021.3.30)/그린포스트코리아
기자 집으로 배송된 선거공보물. 반드시 필요한 자료지만, 한편으로는 아쉬운 마음도 든다. (이한 기자 2021.3.30)/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이한 기자]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 관련 안내물과 공보물이 배송됐다. 유권자의 소중한 한 표를 돕는 귀한 자료다. 뉴스에 자주 이름이 등장하는 유명 후보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후보도 유권자와 공평하게 만날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하다. 누구에게 투표할지 아직 결정하지 못하고 공보물을 꼼꼼히 읽어본 다음 마음을 정하는 유권자도 분명히 많을터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권자 모두에게 종이로 된 인쇄물을 굳이 배송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한번쯤 생각해 볼 여지가 있다. ‘버려지는 선거 공보물이 수천톤이며 재활용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기사, ‘뜯지도 않은 선거공보물이 재활용센터로 팔려나간다’는 내용의 기사가 이미 몇 년전부터 국내 주요 언론의 단골 소재 중 하나였다.

김미화 자원순환사회연대 이사장은 지난해 총선을 앞두고 본지 취재에 응하면서 “인쇄매체 홍보물을 가가호호 발송하는 것은 비용이나 환경 측면에서 시대에 맞지 않는다”고 말한 바 있다다. “선거를 치르는 과정에서 종이 공보물과 플랜카드 사용 등이 과도한 것은 아닌지에 대해 선관위가 꼼꼼히 따져보고 이제는 적극적으로 바뀌어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혹시라도, 원하는 사람은 앱이나 QR코드 같은 방법으로 공보물을 확인할 수는 없을까? 고지서를 종이 대신 이메일이나 모바일로 받는 것처럼 말이다.

 

leehan@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