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 상자 버릴 때는, 테이프와 스티커 모두 떼어야

기업이나 정부가 아닌 일반 소비자가 실천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친환경’ 노하우는 ‘쓰레기를 덜 버리는 것’입니다. 플라스틱이든, 음식물 쓰레기든, 아니면 사용하고 남은 무엇이든...기본적으로 덜 버리는게 가장 환경적입니다.

그린포스트코리아 편집국은 지난 2~3월 ‘미션 임파서블’에 도전했습니다. 쓰레기를 버리지 않고 주말 이틀을 살아보자는 도전이었습니다. 도전에 성공한 사람은 한 명도 없었습니다. 이틀 동안 쓰레기를 버리지 않는게 말 그대로 ‘불가능한 미션’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환경을 포기할 순 없습니다. 하여, 두 번째 도전을 시작합니다. ‘제로웨이스트’입니다. 이틀 내내 쓰레기를 ‘제로’로 만들지는 못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할 수 있는 것부터 실천하기로 했습니다. 쓰레기를 배출하던 과거의 습관을 하나씩 바꿔보려 합니다. 평소의 습관이 모여 그 사람의 인생과 운명이 결정된다면, 작은 습관을 계속 바꾸면서 결국 인생과 운명도 바꿀 수 있으니까요.

불편하고 귀찮은 일이지만 그래도 한번 해보겠습니다. 스물 한 번째 도전입니다. 택배 받은 골판지 상자를 버릴 때 ‘F.M’을 따르기로 했습니다. [편집자 주]

서울 한 주택가 이면도로에 상자가 쌓여있다. 버려진 상자, 정확히 말하면 버려진 것들을 모은 상자 더미다. 쌓여있는 폐지 부피가 누군가에게 주는 불편과 그 폐지를 짊어진 또 다른 누군가의 삶의 무게가 함께 보인다. 이런 문제는 누가,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이한 기자 2020.10.13)/그린포스트코리아
서울 한 주택가 이면도로에 상자가 쌓여있다. 상자는 테이프와 스티커 등을 모두 제거하고 압착해 버려야 한다. 제대로 뜯어지지 않은 테이프 자국 등이 보인다. 사진 속 박스를 모두 펴서 쌓아둔 것도 배출한 사람들이 한게 아니라 폐지를 모은 사람이 해둔 작업이다. (본사 DB)/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이한 기자] 기자는 ‘FM대로 한다’는 말을 많이 썼다. 요즘 쓰고 있는 단어는 아니고 20여년 전에 썼다. 저건 FM라디오를 뜻하는 말도 아니고, 유명 스포츠게임 ‘풋볼매니저’의 약자도 아니다. 군대 야전교범(Field Manual)의 약자로 FM은 곧 ‘원칙대로’ 또는 ‘규정대로’ 한다는 뜻이다. 그냥 관행처럼 대충 편하게 하는 게 아니라 불편해도 규칙을 모두 지킨다는 뜻으로 쓴다.

택배 상자를 버리는데 F.M이 뭘까? 소비자들은 대부분 택배상자를 분리수거(배출)하다. 아파트에 살든 빌라에 살든, 정해진 날짜에 따로 모아서 버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분리배출만 한다고 상자를 잘 버리는 건 아니다. ‘상자를 버리는 완벽한 방법’이 있어서다. 원칙은 하나다. ‘종이만 남기는 것’. 물론 상자를 버렸다는 것 자체가 제로웨이스트의 사전적 의미와는 맞지 않으나, 쓰레기를 제대로 버리자는 취지의 실천이다. 

환경부 ‘내 손안의 분리배출’ 앱에 따르면, (골판지 상자 등) 상자류는 비닐코팅 부분, 상자에 붙어있는 테이프·철핀 등을 모두 제거한 후 압착해 운반이 쉽도록 묶어서 배출한다. 테이프나 스티커가 붙어있는 상태로는 재활용이 어렵다. 그래서 (귀찮더라도) 포장 테이프나 스티커로 붙은 택배 송장, 바코드 같은 것들은 모두 떼야 한다. 철핀 등으로 고정된 경우라면 특히 더 그렇다.

상자를 분리배출하는 사람은 많지만 제대로 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집 앞 분리수거장에 가보면 확실해진다. 박스에 테이프와 송장이 그대로 붙은 경우가 절반 이상이다. 물건만 쏙 빼고 그 상태 그대로 버려진 밗도 많고 스티커가 덕지덕지 붙은 상태로 아무렇게나 구겨져 버려진 것들도 많다.

고백하자면, 기자도 그랬다. 그날 버리는 상자 중 제일 큰 박스에 종이류를 전부 다 모아 그냥 버리곤 했다. 변명하자면, 몰랐다. 상자를 모두 펴서 납작하게 버리는 사람을 보면 그냥 막연히 ‘부피를 줄이려고 그러는나보다’했다. 하지만 그렇게 버리면 안된다는 걸 알게 됐고, 작년부터는 ‘F.M’대로 버리고 있다.

◇ 끈끈이 남지 않게 깨끗하게 떼어야 

택배 상자를 열고 나면 스티커와 테이프를 모두 뗀다. 대충 떼는 게 아니라 작은 조각 하나까지 안 남게 꼼꼼히 다 뗀다. 스티커 끈끈이가 박스에 남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때는 그 부분을 칼로 도려낸다. 그렇게 떼낸 테이프와 스티커는 접어서 일반쓰레기로 버리고, 박스에 묻은 먼지는 적당히 털어낸 다음 펴서 납작하게 모아둔다. 묶어서 버리라고 했는데, 상자가 3~4개 이상 쌓이지는 않아서 그냥 버린다. 그 정도를 묶자고 비닐이랑 플라스틱 끈을 사는 건 아이러니하다고 느껴져서다.

(요즘은 종이끈도 있다.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다만, 환경에 공헌하려고 종이끈을 사면서 또 택배를 시키는 게 환경적인지는 좀 더 따져볼 필요가 있겠다)

먼지와 끈끈이를 손에 뭍혀가며 일일이 테이프를 떼면서 귀찮거나 의심스러운 기분이 들 때도 있었다. 이렇게 꼼꼼하게 분리해봤자 커다란 재활용 트럭이 전부 모아서 싣고 가면 다 섞이지 않을까 싶은 마음도 들었다. 하지만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이 지난해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그 긍금증을 해결해준 바 있다.

홍수열 소장은 “재활용되는 것들을 정확하게 내놓으면 그게 섞여 배출되도 선별장에서 종류별로 나눌 수 있다”고 말했다. 홍 소장은 “선별하기 쉬우라고 품목별로 따로 싣고 운반하면 비용과 에너지가 더 든다”면서 “한꺼번에 싣고 간다고 재활용이 안 되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홍 소장은 “재활용되지 않는 것을 재활용품에 섞어 내놓는 게 자원순환을 어렵게 하는 가장 큰 이유”라고 말했다. 박스에 대입해 생각하면, 테이프나 철심같은 게 섞여 나가거나 다른 쓰레기와 뒤섞이면 안 된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골판지가 아닌) 이물질을 모두 떼고 납작하게 펴서 버리는 건 결국 그런 취지다.

이번주에도 택배가 몇 개 왔다. 김치는 스티로폼에 담겨와서 어쩔 수 없지만, 책과 유산균, 그리고 얼마 전 구입한 레고는 종이상자에 왔다. 스티커와 테이프는 칼로 싹싹 긁어 떼어내고 골판지만 전부 펴서 내놓았다. 어느 집에서 내놓았는지는 모르지만, 택배 송장이 그대로 붙어있는 박스가 1층에 쌓여있었다. 그 집 주인이 이 기사를 읽으면 좋겠다.

leehan@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