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 유행 아닌 기업의 '필수자질', ESG선도하려면 임직원도 ESG마인드 갖춰야

ESG경영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ESG경영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박은경 기자] 세계경제와 금융시장에서 비 재무적 요소인 ESG(환경·사회·지배구조)가 중심축으로 자리잡으면서 기업들의 ESG경영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고 있다. ESG경영의 핵심 포인트는 7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20일 이은재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지난 17일 발간한 보고서에서 기업들이 ESG 경영에서 △자본(Capital) △상대기관(Counterparty) △고객(Customers) △신용도(Credit) △기업(Corporate) △규제(Compliance) △약속(Commitment)등의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먼저 자본조달시 투자자의 ESG요구가 강화됐다. 투자자들이 투자를 위한 판단 지표에 ESG를 포함하면서 ESG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는 기업은 투자를 받지 못해 자본확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주요 투자자로 꼽히는 글로벌 자산운용사의 ESG분야 투자 자산은 45조달러로 전체의 절반에 달하며, 2030년에는 95%가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투자를 받으려는 기업들 또한 ESG역량이 필수로 요구되고 있다. 

실제 지난 2019년 프랑스 연기금자산운용사들은 미국 정부의 기후변화 및 사형제도 등을 이유로 세계 채권시장인 국의 구채 투자 거부를 선언하기도 했다.

다음으로 거래하는 상대기업과 상대 금융기관이다. 여신취급시 ESG평가 지표를 도입해 친환경 노력 이행 등의 점검이 이뤄지고 있는데 거래기업이 ESG관련 비판을 받는 경우도 자사 리스크에 타격을 받을 수 있다. 기업 간 비즈니스에서도 ESG가 중요 요소로 작용하게 된 것이다.

기업들뿐만 아니라 고객들의 평가도 두려워해야 한다. 젊은 세대의 ESG인식 제고로 소비자보호 인식이 높아진 데다 ESG에 소홀한 기업에는 소비자 거부나 보이콧이 강화되고 있어서다.

또 신용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기업의 신용평가시 ESG반영도가 점차 커지며 ESG가 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도 점차 커지는 탓이다. 신용등급이 높을수록 발행금리 및 자금조달 금리가 인하되는 만큼 기업의 재무적요소에 영향을 미친다.

기업의 ESG내재화 요구도 거세지고 있다. ESG경영은 외부관계자만이 아닌 기업내부에 더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법무인사환경 등 일부가 아닌 인사조직경영 등 기업활동 전체가 포괄적 ESG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외부 기관에서 기업들의 ESG를 평가할 때 환경과 사회보다는 지배구조를 더 우선시 하는 경향이 짙어졌다. 이에 내부조직의 ESG경영이 부진하면 외부 평가와 더불어 경영성과도 저하된다는 판단이다.

ESG규제화도 속도가 붙고 있다. 국내외 ESG규제가 도입되면서 의무화되는 탓이다. 그간은 자율적으로 행해왔던 ESG가 규제화 되면 의무적용이 될 수 있다. 최근 유럽은 ESG규정을 추진 중이며 우리나라도 2025년부터 공시 의무화를 도입하기로 했다.

이같은 ESG요소들을 이행했다면 이후에는 ESG성과를 유지하는 약속 이행도 중요하다. 지속적인 ESG활동으로 대외인증 수준을 확대하지 않으면 ESG평판 저하로 리스크가 불거질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ESG경영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전사적 대응체제가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원은 "전세계적으로 열풍처럼 다가온 'ESG 경영'은 환경적·사회적인 인식변화를 감안할 때 일시 유행이 아닌 기업의 '필수자질'로 인식되어 트렌드가 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실질 적인 ESG 경영을 달성하고 선도기업으로서의 위상을 확보하려면 CEO만이 아닌 임직원 모두가 ESG에 대한 마인드를 갖고 기업활동 전반을 임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mylife1440@greenpost.kr

키워드

#ESG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