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들어 회복될 것으로 보이나 불확실성 높아

미 재무부가 스위스와 베트남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했다.(사진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올해 코로나19 백신 상용화 등이 세계경제를 좌우할 것으로 전망됐다.(사진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박은경 기자] 세계경제가 신종 코로나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와 바이든 정부 출범, 중국의 정책 전환 등으로 불확실성이 증대된 가운데 백신 상용화와 미중 정책, 기후변화 등이 향방을 좌우할 것으로 전망됐다.

8일 한국은행은 지난달 31일 발표한 '2021년 세계경제 향방을 좌우할 7대 이슈' 보고서에 의하면 올해 세계경제는 코로나19 관련 여파가 여전한 가운데 미국, 중국 등의 정책 전환이 이뤄지는 만큼 높은 불확실성에 처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올해 세계경제를 좌우할 주요 이슈로 △코로나19 백신 상용화 △바이든노믹스 본격화 △중국의 성장 전략 전환 △글로벌 패권 경쟁 상시화 △유럽 내 경제 불균형 및 정치 갈등 심화 가능성 △글로벌 경기 회복 불균형 △기후변화관련 국제적 대응 노력 강화 등을 꼽았다.

먼저 코로나19 백신 상용화는 최근 주요국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하고 있어 백신 상용화 시기가 예상보다 빠르게 도래할 것으로 전망했다. 백신 공급 계획 등을 감안 할 때 선진국을 중심으로 올해 하반기중 집단 면역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백신 접종 거부감, 일부 백신의 출시 지연 가능성 등은 코로나19 조기종식의 브레이크 요소로 작용할 소지가 있다.

다음으로 '바이드 노믹스 본격화'에 따른 변화를 주목했다. 바이든 신정부 출범 이후 재정 지출이 늘고 증세, 다자주의 및 친환경을 골자로 하는 바이든 정책이 본격 추진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바이든 신정부의 대규모 재정 지출 및 인프라투자 등은 세계 무역 환경의 불확실성을 완화시키는 등 긍정적으로 작용될 전망이다.

동시에 중국의 성장 전략 전환정책에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중국은 14차 5개년(2021~25년)경제 사회 발전계획에 따른 쌍순환 성장전략을 통해 거대 내수시장의 잠재력을 활용해 기존 수출 중심 성장 패러다임으로부터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이 같은 쌍순환 정책의 영향으로 중국의 글로벌 공급망이 축소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반대로 글로벌 소비시장 잠재력도 확대돼 기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글로벌 패권경쟁이 상시화 될 것으로 우려했다. 미국의 대중 정책이 원칙에 기반한 견제방식으로 전환되면서 미·중 갈등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은 탓이다. 미·중 갈등이 장기화될 경우 미국 대외 정책의 불확실성은 완화 되겠으나 미국의 중국 견제로 패권경쟁의 부정적 영향이 확대될 소지도 커진다.

더불어 유럽 내 경제불균형 및 정치 갈등이 심화될 수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유럽 내 빈부 격차가 심화되는 가운데 회원국간 경제·정치적 갈등이 확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서다. 대표적으로 난민문제와 기후변화등 회원국간 의견이 대립 되는 현안을 중심으로 갈등이 고조될 여지가 있다.

동시에 글로벌경기 회복도 불균형을 이룰 확률이 높다. 백신 보급 시기, 재정여력 등에 따라 국가간 경기 개선 격차가 벌어지겠고 선진국·신흥국간 불균형 확대가 세계경제의 회복을 제약하는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코로나19가 서비스업과 저소득층에 집중되면서 국가내부 경제 격차가 벌어지며 국가 내 계층간·산업간 불균형 심화돼 코로나19충격이 고착화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아울러 기후변화로 인한 '신기후체제'도 올 해를 달굴 것으로 전망됐다. 신기후체제 출연으로 기후변화에 관련된 국제적 대응 노력이 강화된 가운데, 바이든 정부의 기후변화 관련 정책기조가 친환경으로 전환되는 만큼 환경규제와 투자확대 등 국제사회 대응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각국 정부의 친환경 기술투자를 확대 및 새로운 산업 및 시장을 선점 경쟁은 친환경 기술 발달을 촉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세계경제는 하반기들어 성장할 가능성이 존재하나 불확실성이 높아 향방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이기도 했다.

조사국 공동경제부 관계자는 "2021년 세계경제는 글로벌 경기 회복 불균형 심화 등 일부 부정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백신 상용화, 미국 신정부의 재정지출 확대 등으로 하반기에 성장세가 확대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하지만 팬데믹 종식 지연, 미·중 갈등, 글로벌 경기회복 불균형 등 다양한 이슈들이 영향을 주며 세계경제가 예측하지 못한 방향으로 전개될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덧붙였다.



mylife1440@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